무장탈영 장교 자살… 軍 총기관리 ‘구멍’

무장탈영 장교 자살… 軍 총기관리 ‘구멍’

입력 2012-08-09 00:00
업데이트 2012-08-09 16: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당 부대 10시간 동안 몰라..경위 파악 ‘허둥’

현역 장교가 부대 밖으로 갖고 나간 소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어 군(軍)의 허술한 총기관리 실태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해당 부대는 10시간 넘게 소속 장교의 무장 탈영 사실을 몰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경기도 연천의 전방부대에 근무하는 A(33) 대위는 9일 오전 3시20분께 전남 장성군 삼계면의 한 아파트 복도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A대위는 K2 소총과 실탄 30발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A대위가 육군 상무대에서 교육 중인 여자친구 B(28) 대위를 찾아가 다툰 뒤 갖고 있던 소총으로 자살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해당 부대는 A대위의 사망소식이 알려질 때까지 무장 탈영한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과가 오후 5시에 끝나는 것을 고려하면 A대위가 숨진 채 발견된 다음날 오전 3시20분까지 10시간 넘게 공백이 생긴 셈이다.

장교의 부대 출입이 사병보다 자유롭더라도 전방부대에서 총기와 실탄이 사라진 사실을 몰랐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이 부대는 두차례 총기 난사 사고가 발생한 전력이 있다. 사병이 부대에서 총기를 난사해 1984년 2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2005년에도 8명이 숨지고 4명이 부상했다. 당시에도 허술한 총기 관리로 비난받았다.

통상 군은 총기함에 이중 잠금장치를 해 놓고 통제하는 등 엄격히 관리한다. 또 부대원이 무장 탈영하면 경찰에 알려 도로 등에 검문소를 설치하고 검색을 강화한다.

그러나 해당 부대는 10시간이 넘도록 A대위가 탈영한 사실도, 총기와 실탄이 사라진 것도 몰랐다.

그 사이 A대위는 아무런 제지를 받지 않고 자신의 차량을 이용해 무려 350여km를 이동했고 결국 사고를 냈다.

A대위의 사망 소식이 알려진 뒤에도 해당 부대는 총기가 누구의 소유인지를 뒤늦게 파악하는 등 허둥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A대위가 사용한 총기에 대해 “자신의 것인지 훈련용인지는 아직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