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골도 아닌데… ” 인천 새 아파트 휴대전화 불통

“산골도 아닌데… ” 인천 새 아파트 휴대전화 불통

입력 2012-08-24 00:00
업데이트 2012-08-24 1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입주민들, 통신 중계기 설치 두고 의견 엇갈려

인천 서창지구 신축 아파트 입주민들이 집 안에서 휴대전화가 되지 않는다며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24일 인천시 남동구에 따르면 서창2지구 7단지 휴먼시아 아파트에는 이동통신사의 중계기가 설치되지 않아 집 안에서 휴대전화로 통화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거나 부재중 전화가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시로 집과 1층 정원을 오가는 불편을 겪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답답한 나머지 개별적으로 통신사와 접촉,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댁내용 중계기’를 설치했지만 통화 품질이 매우 낮아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입주민 이모(45)씨는 “퇴근 후 업무상 휴대전화로 걸려오는 전화들을 받아야 하는데 집에만 들어가면 되지않아 곤란한 경우가 한 두번이 아니었다”며 “신축 아파트라고 해도 이렇게 오랫동안 휴대전화가 불통인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런 사태가 발생한 것은 일부 입주자들이 전자파 피해를 우려해 이동통신사 중계기 설치를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입주민 김모(34)씨는 “휴대전화 전자파도 인체에 유해하다고 들었는데 중계기가 집 근처에 설치되면 산모나 아이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지 우려가 된다”고 말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와 통신사는 입주자대표회의의 결정을 기다리는 입장이다.

관리사무소의 한 관계자는 “인근 11단지에서는 중계기를 입주 전 미리 설치했다가 전자파 피해를 우려하는 입주민들의 민원이 빗발치고 있다.”라며 “입주자대표회의가 정식 발족하면 이 문제에 대한 방침이 세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통신사의 한 관계자도 “입주민의 동의 없이는 아파트 내에 중계기를 설치할 수 없다”며 “신규아파트 단지의 경우에는 민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입주민대표단의 결정에 따라 장비를 운용한다”고 밝혔다.

이 아파트는 1천196가구 규모로 지난 6월28일부터 입주를 시작했다. 이날 현재까지 전체의 63%인 765가구가 입주를 마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