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취업률로 본 취업 사회학

서울대 취업률로 본 취업 사회학

입력 2012-08-27 00:00
업데이트 2012-08-2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순수취업률 61%… 국가고시·대학원 진학보다 취업문 두드린다

서울대생의 졸업 후 취업 판도가 크게 달라지고 있다. 이전에는 국가고시나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경향이 뚜렷했지만 최근에는 일반 취업에 열을 올리고 있는 양상이다. 이력서 쓰기와 면접 대비 강좌를 마련하는 등 서울대도 이런 추세에 발맞춰 ‘취업률’ 높이기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2012년 서울대 졸업생의 순수 취업률은 61.0%. 5년 전에 비해 15.9% 포인트나 높아졌다. 서울대의 한 교수는 “연구와 학문을 중시해 온 서울대에서도 학생들의 ‘취업’이 최우선 과제가 됐음을 보여주는 근거”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취업난이 젊은이들의 꿈을 옥죄고 있다. 한 학생이 26일 서울 모 대학의 취업정보 안내판 앞을 지나치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취업난이 젊은이들의 꿈을 옥죄고 있다. 한 학생이 26일 서울 모 대학의 취업정보 안내판 앞을 지나치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26일 서울대경력개발센터와 교육과학기술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8월과 올 2월에 졸업한 서울대 학부 졸업생 3466명 중 진학자와 군입대자, 외국인 유학생 등을 제외한 2382명 가운데 취업자는 1453명으로 전년보다 1.2% 포인트가 높아진 61.0%를 기록했다. 5년 전 45.1%였던 취업률에 비하면 크게 상승했다. 특히 인문대는 57.9%의 취업률을 보여 5년 전 24%에 불과하던 것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이 같은 변화는 그만큼 취업 전선에 뛰어드는 학생들이 많아졌음을 뜻한다. 서울대의 변화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전문가들은 예년에 비해 경쟁이 치열해지는 등 국가고시에 합격하기가 한층 까다로워진 데다 대학원에 진학해도 졸업 후 교수나 연구원 자리가 보장되지 않는 것이 이런 변화를 이끈 주요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박건정 서울대 경력개발센터 연구원은 “예전에는 고시 준비를 하거나 진학을 준비하는 주변 친구들의 영향도 있었고 본인의 의지보다는 가족의 권유로 고시나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이 많았다.”면서 “하지만 요즘은 고시를 준비하더라도 일정한 기간을 정해놓고 하다가 안 되면 취업 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학생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김태완 서울대경력개발센터 소장은 “과거에는 서울대 하면 고시나 교수로 직결되는 공식이 있을 정도로 ‘무엇’이 되느냐가 중요했다.”며 “하지만 최근에는 사회 변화에 맞춰 서울대생도 발전 가능성이 큰 중소기업에 지원해 능력을 살리는 등 일반 취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추이를 설명했다.

계속되는 고용 한파 때문에 서울대 출신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사회 분위기도 서울대생이 마주한 새로운 현실이다. 실제 ‘서울대 출신 모셔 가기’ 열풍은 사그라진 지 오래다. 한 기업 인사담당자는 “서울대 졸업자들에게 취업 과정에서 가산점을 주던 시대는 이미 지났다. 어느 대학 출신이냐보다 됨됨이나 역량과 재능, 직장에서 잘 융합할 수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본다.”고 전했다. 출신 대학보다는 다양한 경험과 능력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점차 자리를 잡아 가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서울대생들 사이에서도 취업하기가 어렵다는 하소연이 터져나오고 있다. 서울대 전자공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이어진(26)씨는 “서울대라 취업하기 쉽겠다는 말을 듣지만 취업 준비생의 압박은 서울대나 다른 대학이나 똑같다.”면서 “학내외에서 취업 스터디를 2개나 하고 있고 토익 점수를 높이기 위해 올해만 다섯번 시험을 봤다.”고 말했다.

명희진기자 mhj46@seoul.co.kr

2012-08-27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