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사제’ 함세웅 신부의 마지막 미사

‘민주화 사제’ 함세웅 신부의 마지막 미사

입력 2012-08-27 00:00
업데이트 2012-08-2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의구현사제단 창립 주도 두차례 투옥… 70세 은퇴

민주·진보진영을 대표하는 인물이자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의 창립을 주도한 함세웅(70) 신부가 26일 은퇴했다.
이미지 확대
함세웅(가운데) 신부가 26일 낮 서울 신당동 청구성당에서 700여명의 신도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44년 사제생활을 마감하는 마지막 미사를 집전하고 있다.  뉴시스 제공
함세웅(가운데) 신부가 26일 낮 서울 신당동 청구성당에서 700여명의 신도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44년 사제생활을 마감하는 마지막 미사를 집전하고 있다.
뉴시스 제공


함 신부는 오전 11시 서울 신당6동 청구성당에서 44년의 사제생활을 정리하는 마지막 미사를 집전했다. 700명 이상의 신도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함 신부는 “남북 겨레를 기억하며 제주 강정마을을 비롯해 한반도의 정의·평화를 실현해 주소서.”라며 미사를 시작했다. 마지막 강론은 마태오복음 11장 28절이었다. 그는 “사제생활 동안 ‘예수님은 누구인가’란 본질적 질문에 답을 구하려 했다.”면서 “예수님은 33세 때 타살당한 고통받는 존재였고 청년예수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내 삶의 주제어이자 핵심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잘못된 사회·정치제도는 교회에서 바로잡아야 한다.’는 신념 아래 1970년대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창립을 이끌었다. 1976년 민주구국선언에 참여했다가 투옥됐고, 형집행정지로 풀려난 뒤인 1979년 부마항쟁 당시 문정현 신부와 함께 또 구속됐었다.

함 신부는 “서울대교구 사제 인사발령에 내 이름이 제일 위에 올랐다.”면서 “이제 나는 노땅”이라며 미사를 마무리했다. 교회법상 신부의 은퇴연령은 만 75세지만 함 신부는 정진석 추기경이 물러나면 퇴임하겠다는 약속대로 지난해 4월 정 추기경이 은퇴하자 일찍 미사전에서 내려왔다.

함 신부는 은퇴 후 원로 사목자로서 제2의 삶을 시작한다. 현재 맡고 있는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이사장, 김재규장군명예회복추진위원회 공동대표 등은 계속할 전망이다. 함 신부는 정치활동에 나설 것이라는 추측에 대해 “예수님 정신으로 한결같이 선후배 동지들과 함께 길을 걸어갈 뿐이지 정치적으로 나설 생각은 없다.”고 일축했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2-08-27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