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스쿠니 신사는 침략의 상징…참배 없을 때까지 반대할 것

야스쿠니 신사는 침략의 상징…참배 없을 때까지 반대할 것

입력 2012-08-29 00:00
업데이트 2012-08-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2년 동안 신사참배 부당성 지적한 일본인 즈시 미노루 씨

“야스쿠니(靖國)는 청산해야 할 침략의 상징입니다. 야스쿠니신사에 참배하거나 찬성하는 사람이 없을 때까지 계속 활동할 겁니다.”

즈시 미노루씨 연합뉴스
즈시 미노루씨
연합뉴스


한일병합조약 102주년을 하루 앞둔 28일 야스쿠니신사 문제위원회의 즈시 미노루(62) 위원은 야스쿠니신사에 대해 가차없이 비판을 가했다. 그는 1970년부터 야스쿠니신사의 모순과 부당성을 지적해 온 일본의 양심적인 시민운동가다.

그는 1910년 8월 29일 조선에 대한 일본의 강제병합에 대해 “일본이 진심으로 사과해야 할 역사”라며 운을 뗐다. 즈시는 “강제병합 후 일본이 조선에 신사참배를 강요하고 기독교인들을 탄압하고 마구 죽였던 역사를 알게 됐다.”면서 “그때 받은 충격으로 신사를 연구하고 비판하는 활동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오랜 기간 신사와 관련된 사료를 모으고 있다.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기 위해 한국은 물론 타이완과 싱가포르에 있는 신사 터를 찾아다니며 관련 자료를 수집해 왔다. 지난 23일 방한해 서울에 머무르고 있는 즈시는 전남 여수와 순천 일대의 옛 신사 터를 찾아 현장조사를 마쳤다. 1980년부터 10회가 넘게 우리나라를 찾아 곳곳에 잔재로 남아 있는 신사 터를 조사했다.

그는 야스쿠니가 단순한 신사가 아닌 ‘침략 신사’라는 신념을 갖고 있으며 2003년에는 이 제목으로 저서를 출간하기도 했다. 즈시는 “일본이 침략의 역사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나 같은 일본인이 신사를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강제병합 후 조선에 지어진 신사가 1000여개라고 전해지며, 현재까지 남한에서 확인된 것만 80개 정도 된다.”면서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증언과 자료를 모으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공정하게 활동할 수 있는 시민사회의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역사고증 노력이 선행되어야만 일본이 신사에 대한 망상을 떨치고, 과거의 잘못을 청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2007년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된 한국인 유족과 생존자가 일본 법원에 낸 취소소송에 대해서도 “그들이 승소할 수 있도록 끝까지 돕겠다. 한국과 일본의 시민사회가 함께 연대해 활동한다면 더 좋겠다.”고 말했다.

이범수기자 bulse46@seoul.co.kr

2012-08-29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