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산골학교 ‘방과후 수업의 기적’

충남 산골학교 ‘방과후 수업의 기적’

입력 2012-11-15 00:00
업데이트 2012-11-15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폐교 위기서 3년만에 학생 수 4배 늘어난 논산 도산초교의 비결

충남 논산시 대둔산 수락계곡에 위치한 도산초등학교는 3년 전만 해도 학생 수가 부족해 폐교 직전까지 갔던 초라한 학교였다. 인근 마을은 산을 찾는 등산객으로 북적였지만 정작 마을의 젊은 주민 수는 해가 다르게 줄었다. 자연히 초등학교에 다닐 만한 어린이를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졌다. 학생 수가 2009년에는 37명까지 줄어 한 학년에 대여섯명만이 남았다. 학생들은 졸업하면 모두 도시의 중학교로 떠날 예정이었다.
이미지 확대
충남 논산 도산초교 학생들이 수업을 마친 뒤 교실에 남아 오카리나 연주를 배우고 있다.  도산초 제공
충남 논산 도산초교 학생들이 수업을 마친 뒤 교실에 남아 오카리나 연주를 배우고 있다.
도산초 제공


그러던 학교가 싹 달라졌다. 2010년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도입하면서부터다. 당시 박상영 교장은 “학교에 있는 시간을 즐겁게 느끼도록 만들어 주면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만족도가 자연히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박 교장은 일반예산을 줄이고 거기에서 생긴 돈으로 운동장 한편에 골프 교실을 지었다.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였다. 운동장 주변에 육상 트랙을 깔고 축구하며 땀을 흘릴 수 있게 풋살(미니축구) 경기장도 만들었다. 조명탑을 설치해 저녁 때까지 마음껏 뛸 수 있게 했다.

인근에 학원 등 사교육 시설이 없어 자녀 학업을 걱정했던 학부모들의 마음을 헤아려 수학영재반, 논술반도 개설했다. 온종일 돌봄교실에서는 오후 8시까지 학교 선생님들이 남아서 학생들을 보살폈다. 시내에 있는 직장에 다니는 학부모와 농사일에 바쁜 학부모 모두 안심하고 자녀를 학교에 맡겼다.

학기마다 새로 개설한 프로그램이 늘면서 학생도 따라 늘었다. 현재는 전교생이 137명이다. 가장 적었던 때의 약 4배가 됐다. 현재 전교생 가운데 논산 출신 학생들은 18명뿐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인근 대전시나 계룡시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이다.

도산초교의 모든 학생들은 1인당 평균 8개의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가한다. 5개의 강좌는 교육청과 학교가 수강료를 지원하고 학생들은 2~3개 강좌에 해당하는 수강료만 내면 된다. 수강료는 강좌당 월 3만원으로 학부모에게 큰 부담은 없다. 방과 후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이동숙 교사는 “시내 학교에서도 배우기 어려운 운동 종목을 도입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 같다.”고 말했다.

도산초교 학생들은 최근 0교시 수업을 시작했다. 여느 학교처럼 보충학습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전교생이 참가하는 축구 리그다. 아침 일찍 학교에 나와 반 대항 축구 경기를 하고 상쾌한 기분으로 수업에 임한다. 박 교장은 “운동으로 뇌를 깨우고 수업에 들어가면 집중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도산초교의 평균 학력점수는 충남도 평균보다 5점 높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2-11-15 10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