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이후 전투기 추락사고 일지

2000년 이후 전투기 추락사고 일지

입력 2012-11-15 00:00
업데이트 2012-11-15 15: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군 블랙이글 전투기 1대가 강원 횡성의 한 야산에서 훈련 중 추락해 조종사 1명이 순직했다.

사고가 난 전투기는 공군 제8전투비행단 소속 T-50B 블랙이글 전투기로, T-50B는 대한민국 공군 특수비행팀인 블랙이글이 운용하는 에어쇼 전용기이자 T-50의 파생형 기체다. 이 기종의 전투기가 추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음은 2000년 이후 전투기 추락사고 일지.

▲2000.10.4 = 충북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상공에서 훈련비행 중이던 공군 17전투비행단 소속 F4-E 팬텀기 추락.

▲2001.4.18 =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인근 야산에서 공군 17전투비행단 소속 F-4E(팬텀) 전투기 1대 추락, 조종사 2명 비상탈출.

▲2001.6.8 = 경북 안동시 풍천면 어담리 뒤편 야산에 훈련 중 공군 제19전투비행단 소속 F-16 P/B(피스브릿지) 전투기 추락, 조종사 2명 비상탈출.

▲2001.10.5 = 강원도 영월 필승사격장내에서 공군 17전투비행단 소속 F-4E 1대가 공대지 전술폭격 훈련 중 추락, 조종사 2명 순직.

▲2002.2.26 = 충남 서산시 고북면 정자리 A지구 농장 논에 비행훈련 중이던 공군 제20전투비행단 소속 KF-16 전투기 1대 추락, 조종사 1명 비상탈출.

▲2002.9.18 = 경북 상주시 사벌면 상덕가리 야산 중턱에 공군 F-16D 전투기 1대 추락, 조종사 2명 비상탈출.

▲2002.10.4 = 전북 군산시 옥구읍 선제리 자양중학교 앞 논에 공군 F4 팬텀기 1대 추락, 조종사 2명 비상탈출.

▲2003.5.13 = 경북 예천군 유천면 화지리에서 제16전투비행단 소속 F-5E 전투기 1대가 비닐하우스로 추락, 조종사 1명 순직.

▲2003.9.19 = 공군 8전투비행단 소속 F-5E 전투기 2대가 훈련임무 도중 충북 영동지역 산악에 추락, 조종사 2명 순직.

▲2004.3.11 = 공군 제10전투비행단 소속 F-5E 전투기 2대가 서해상에서 충돌, 조종사 2명 순직.

▲2005.7.13 = 공군 제10비행단 및 제17비행단 소속 F-5F(제공호), F-4E(팬텀) 서해와 남해에서 잇따라 추락, 조종사 4명 순직.

▲2006.1.27 = 공군 19전투비행단 소속 F-16C 전투기 1대가 충주에서 추락, 조종사 1명 추락 직전 탈출.

▲2006.5.5 =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 A-37 전투기 1대 수원비행장서 곡예비행 중 추락, 조종사 1명 순직.

▲2006.6.7 = 공군 11전투비행단 소속 F-15K 전투기 1대가 동해 앞바다에서 야간 비행훈련 중 추락, 조종사 2명 순직.

▲2007.2.13 = 공군 KF-16 전투기 1대 충남 보령시 서해 앞바다 추락. 조종사 비상탈출 성공.

▲2007.7.20 = 공군 KF-16 전투기 1대 서해상에서 추락, 조종사 2명 순직.

▲2008.11.4 = 공군 F-5E 전투기 2대 경기도 포천시 상공에서 충돌, 1대 추락하고 나머지 1대는 무사귀환. 추락 전투기 조종사는 비상탈출 성공.

▲2009.3.31 = 충남 태안반도 서해상에서 임무수행 중이던 KF-16 전투기 1대 추락. 조종사 2명 비상탈출 후 구조.

▲2010.3.2 = 강원 평창군 황병산 인근에서 임무수행 중이던 F-5E, F-5F 전투기 2대 추락. 조종사 3명 순직.

▲2010.6.18 = 강원 강릉시 동해상서 공군 F-5F(제공호) 전투기 1대 추락, 조종사 2명 순직.

▲2011.12.5 = 경북 예천군 제16전투비행단 인근에서 공군 T-59 훈련기 1대 추락, 조종사 2명 순직.

▲2012.11.15 = 강원 횡성군 야산에서 공군 블랙이글 T-50B 기종 1대 추락, 조종사 1명 순직.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