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선 전문가상담 먼저 받아야 이혼절차 진행

부산에선 전문가상담 먼저 받아야 이혼절차 진행

입력 2012-11-20 00:00
업데이트 2012-11-20 09: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달 전국 처음으로 ‘협의이혼전 의무상담제도’ 시행

다음 달부터 부산에서는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둔 협의이혼 당사자들이 전문가 상담을 받아야 이혼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부산가정법원은 오는 12월1일부터 ‘협의이혼전 의무상담 제도’와 후견 프로그램을 전국 법원 가운데 처음으로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만 13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부가 협의이혼을 하려고 하면 반드시 전문가 상담을 받도록 하고 필요하면 부모교육, 가족캠프, 집단상담 등 후견 프로그램에도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같은 과정을 밟았다는 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숙려기간(3개월)이 진행되지 않아 이혼이 아예 불가능해진다.

지금도 이혼 당사자들에게 상담을 권고할 수는 있지만 구속력이 없어 지난해 부산에서 협의이혼을 신청한 9천여쌍 가운데 상담을 받은 부부는 1.6%인 150여쌍에 불과했다.

이렇게 부부가 서류에 도장만 찍으면 이혼할 수 있는 관행을 과감하게 깨겠다는 것이다.

부산가정법원은 이를 위해 대법원과 부산시로부터 각각 7천만원의 운영예산을 지원받기로 했고 상담실 2개를 확보했다.

또 협의이혼 담당 판사를 지정하고 대법원에 인력증원을 요청했다.

이는 우리나라 이혼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1위인데다 이혼가정의 절반 이상(52%)이 미성년 자녀를 두고 있는데도 사실상 법원의 통제를 받지 않는 협의이혼이 전체의 75%나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혼으로 말미암은 사회적 비용이 연간 2조9천940억원에 달하고 우울증과 청소년 범죄 급증 등 가족해체에 따른 병폐가 심각하다는 판단에서다.

부산가정법원은 이에 앞서 지난 7월 협의이혼을 신청한 부부 13쌍을 대상으로 전문가 상담 등의 프로그램을 시범시행한 결과 13쌍이 모두 마음을 바꾸는 등 톡톡한 성과를 거뒀다.

부산가정법원 박주영 공보판사는 “이혼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면 우리 사회가 뿌리째 흔들릴 수 있다”면서 “서류에 도장만 찍으면 마음대로 이혼할 수 있는 상태를 내버려둬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