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그들의 현장을 가다] (4·끝) 김성국 굿하트전문사례관리센터 대표

[사회복지사 그들의 현장을 가다] (4·끝) 김성국 굿하트전문사례관리센터 대표

입력 2012-11-30 00:00
업데이트 2012-11-30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지대상자들이 필요한 것 찾고 창조하는 서비스”

김성국(41) 굿하트전문사례관리센터 대표는 장애인·실직자 등을 돌보다 지금은 노인요양보호 분야에서 사업을 펼치는 베테랑 사회복지사다. 15년 넘게 사회복지에 몸담아 온 그의 원칙은 ‘현장’을 지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김성국 굿하트전문사례관리센터 대표가 29일 이동목욕봉사 차량 안에서 밖을 내다보며 미소를 짓고 있다. 굿하트 제공
김성국 굿하트전문사례관리센터 대표가 29일 이동목욕봉사 차량 안에서 밖을 내다보며 미소를 짓고 있다.
굿하트 제공
김 대표는 1996년 경기 부천의 한 복지관에서 사회복지사 생활을 시작했다. 영구 임대 아파트의 저소득층, 특히 장애인들을 담당했다. 어느 날 그는 문득 자신이 담당하는 사람들이 사는 모습이 궁금해졌다. “저는 저녁이면 퇴근하지만 퇴근한 후에도 장애인들은 계속 생활하잖아요.” 하루는 퇴근 뒤 고기와 음료수를 사들고 친하게 지내는 장애인의 집에 찾아갔다. “냉장고를 열어 보니 복지관에서 보내 준 반찬이 다 떨 어져 있었어요. 밥솥에는 오래된 밥이 눌어붙어 있었구요.”

사회복지사에게는 현장이 중요하다는 것을 그때 깨달았다. 복지 대상자들에게 복지 서비스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봐야 한다는 것이다. 현장을 발로 뛰던 사회복지사도 연차가 쌓이면 주로 행정 업무를 하게 된다. 김 대표 역시 복지관 시절 ‘행정가’로 변해 가는 자신을 발견했다. 그는 “복지사가 현장에서 멀어지고 구청, 시청 등을 오가며 머리를 조아리는 것에 회의감을 느꼈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현장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기발한 복지 사업들을 전개했다. 국제통화기금(IMF) 한파가 한창일 때는 실직자들이 정보에 느리다는 것에 착안해 ‘실직자 정보신문’을 창간했다. 1999년에는 장애인을 위한 지하철역 정보, 온라인 봉사활동 등 각종 복지 정보를 모은 사회복지 포털 사이트를 개설하기도 했다.

2008년에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출범과 맞물려 굿하트전문사례관리센터를 설립했다. 노인 장기요양 기관들은 요양보호사를 파견해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굿하트는 요양보호사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 등이 연계돼 노인의 건강과 심리, 가족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살피는 ‘사례관리’를 중점적으로 한다. 김 대표는 “요양보호사가 가서 돌봐주고 오는 게 끝이 아니라 노인을 둘러싼 모든 것을 관리하고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를 비롯해 굿하트의 창립자 3명이 맨 먼저 매달린 것은 목욕 서비스였다. 사회복지사지만 노인의 몸과 건강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전용 목욕차를 끌고 다니며 노인들의 몸을 구석구석 닦고 1만원 내외의 수가를 차곡차곡 모았다. 이렇게 시작한 굿하트는 지금 전국 17개 지사에서 800여명의 노인을 돌보는 기관으로 성장했다. 지난해에는 수익을 복지에 환원하기 위해 비영리법인으로 전환했다.

최근 지자체가 조례를 개정하고 국회에서는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사회복지사의 처우 개선을 위해 여러 가지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관련 예산의 과감한 증액과 체계적인 제도 구축이 없이는 요원한 일이다. 그런 가운데 김 대표는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 강화를 강조한다. “사회복지사에 대한 처우 개선은 중요합니다. 그런데 또 중요한 건 복지사들도 전문성을 갖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는 대학의 사회복지학과 강사, 복지기관 특강, 회계 매뉴얼 개발 등 후배 사회복지사들을 교육하는 데도 열성이다. 그는 사회복지사의 일을 ‘예술’이라고 표현한다. “사회복지는 무에서 유를 만드는 예술입니다. 복지 대상자가 필요로 하는 것을 찾아내고 그에 맞는 복지 서비스를 창조해 내기 때문이죠.”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2012-11-30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