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까지 온기 남기고 떠난 ‘당산동 봉사왕’

마지막까지 온기 남기고 떠난 ‘당산동 봉사왕’

입력 2013-01-14 00:00
수정 2013-01-14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봉사 마치고 귀가 도중 사고로 숨진 81세 임득실씨

“건강했던 양반이 돌아가시다니 실감이 안 나요. 그날 아침도 추우니까 그냥 집에서 쉬라고 말렸는데….”
이미지 확대
지난 7일 봉사활동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버스에 치여 숨진 임득실 할아버지가 사고 전 손자를 안고 찍은 사진. 연합뉴스
지난 7일 봉사활동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버스에 치여 숨진 임득실 할아버지가 사고 전 손자를 안고 찍은 사진.
연합뉴스


지난 7일 아침 김계순(75·서울 영등포구)씨의 휴대전화가 시끄럽게 울려댔다. 발신자는 ‘남편’이었다. 봉사활동을 하러 간다며 남편이 집을 나선 지 한 시간여 만이었다. 그런데 수화기 건너로 들려온 것은 남편이 아닌 낯선 남성의 목소리였다. 경찰관이었다. 그는 할아버지가 입고 나간 옷 색깔을 확인하더니 “머리를 조금 다치셨으니 병원으로 와 달라”고 했다.

하지만 머리를 조금 다쳤다는 것은 김씨가 받을 충격을 걱정한 경찰의 거짓말이었다.

병원에서 김씨를 기다린 것은 남편 임득실(81)씨의 싸늘한 주검이었다. 임씨는 이날 당산동 일대에서 쓰레기를 줍는 봉사활동을 하고 귀가하던 중 신호를 위반하고 달리는 버스에 치였다.

임씨는 당산동에서 활발한 봉사활동을 해 유명해졌다. 5년 전 동네에서 쓰레기 줍기나 아이들 등굣길 건널목 안전도우미 등 지역사회를 위해 다양한 선행을 시작했다.

왜 봉사활동에 빠져들었는지 부인이나 자식들에게는 설명도 없었다. 어느 날 갑자기 ‘영등포구 노인봉사대’라고 적힌 노란 조끼와 모자를 장만하더니 아침마다 그것을 챙겨 들고 나갔다.

둘째아들(47)은 13일 “젊은 시절 너무 고생하셔서 나이 들고 웬만큼 살 만해지니까 지역사회에 봉사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신 것 같다”고 말했다.

1932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난 임씨는 젊은 시절 무작정 상경해 영등포에서만 50년 넘게 살며 서울 가락시장에서 농산물을 팔며 가정을 꾸려 왔다.

당산동 주민들은 묵묵히 쓰레기를 줍던 그의 모습을 생생히 기억했다. 이웃 신유리(38·여)씨는 “한번은 초등학교 다니는 딸이 할아버지를 알아보고 ‘봉사왕’이라고 부르면서 반갑게 인사했더니 하던 일을 멈추고 활짝 웃으셨다”면서 “정 많던 할아버지인데 그렇게 돌아가시다니 너무 안타깝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3-01-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