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음식점 포장 거부… 종량제 정책에 역행

유명 음식점 포장 거부… 종량제 정책에 역행

입력 2013-06-03 00:00
업데이트 2013-06-03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음식물쓰레기 줄이자는데… 식당 대부분 남은 음식 안 싸줘

무게 자동인식 RFID 시스템
무게 자동인식 RFID 시스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양 만큼 부담금을 내는 음식물쓰레기종량제가 시행된 2일 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 주민들이 단지 내에 ‘무선주파수인식(RFID)시스템’을 적용한 기계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있다. 이 시스템은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면 자동으로 무게가 측정돼 고지서 등을 통해 각 가정에 수수료를 부과한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이모(61·여)씨는 최근 서울 마포구 합정동에 있는 한 카레 음식점에 갔다가 마음이 상했다. 7살짜리 손녀가 자기 몫으로 주문한 음식을 다 먹지 못해 남은 음식을 포장해 달라고 부탁했지만 종업원은 “방침상 남은 음식을 싸드리는 것은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전 세계에 체인을 두고 있는 이 음식점은 식중독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며 남은 음식을 포장하지 않는 것이 회사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씨는 “음식을 처음부터 포장해 가는 것은 되고, 먹고 남은 것은 포장이 안 된다는 게 말이 안 된다”며 “어차피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지는 것인데 왜 안 된다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내비쳤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외식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남긴 음식을 포장해 가는 바람직한 외식 문화는 아직 제자리걸음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남은 음식 싸가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 경제적이며 환경 보호에도 도움이 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많아 선진국에서는 정착된 지 오래다.

하지만 국내 상당수 음식점들은 이를 거부하고 있으며, 국내 소비자들도 인식 부족 탓에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이달부터 전국 129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음식점과 소비자들의 행동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유명 프랜차이즈업체를 포함해 상당수 음식점들은 현재 먹고 남은 음식을 싸주는 데 인색하다. 대학원생 이모(29·여)씨는 지난달 강남구 청담동의 유명 이탈리안 레스토랑에서 일행 3명과 식사를 마치고 남은 피자를 싸달라고 요청했지만 “음식점 내부 방침상 테이크아웃이나 포장은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이 음식점은 메뉴판에 ‘요리를 비도덕적으로 모방하려는 곳이 있어 부득이하게 음식 포장 및 테이크아웃을 중단했다’고 명시했다. 이씨는 “음식을 남기지 않고 먹으려고 싸달라고 한 것인데 잠재적으로 음식을 베끼는 사람으로 취급받아 기분이 나빴다”면서 “이런 식으로 남긴 음식을 다 버리면 하루에 나오는 음식물 쓰레기 양이 어마어마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남은 음식을 싸가는 문화가 정착되지 않는 데는 음식점의 배타적인 정책뿐 아니라 소비자들의 소극적인 인식도 한몫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먹고 남은 음식을 싸가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부끄럽거나 유별난 행동으로 종종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하는 하루 음식물 쓰레기의 양은 1만 5000여t, 국민 1인당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0.35㎏으로 독일 0.27㎏, 영국 0.26㎏ 등에 비해 월등히 많다. 환경공단 관계자는 2일 “소형 음식점들도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시행 대상인 만큼 남은 음식 포장을 활성화하는 등 식당과 손님 모두 버려지는 음식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6-03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