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우 ‘도주범 계보’ 신창원·조세형·이낙성 잇나

이대우 ‘도주범 계보’ 신창원·조세형·이낙성 잇나

입력 2013-06-03 00:00
업데이트 2013-06-03 17: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20일 남원지청에서 도주한 전과 12범 ‘이대우’의 행적이 묘연한 가운데 과거 신출귀몰한 탈주행각을 벌였던 신창원(사진) 등에 대한 네티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신창원’은 1989년 서울 성북구 돈암동에서 동료 4명과 강도살인을 한 죄로 같은 해 9월 무기징역형을 선고받고 여러 형무소를 전전하다가 1994년 부산교도소로 이감됐다. 신창원은 1997년 1월 감방 화장실 환기구 쇠창살을 잘라내고 도주했다. 신창원은 계획적으로 20kg을 감량하는 등 좁은 공간으로 탈출하기 위해 치밀한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년 6개월 동안 신출귀몰한 행적으로 도망다니다 1999년 충남 천안의 한 다방 주인의 신고로 꼬리를 밟혀 7월 전남 순천에서 붙잡혔다. 그는 도주 중 144건의 강·절도 행각을 벌여 피해액이 10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22년 6개월의 형을 추가로 선고받고 복역하다 2011년 고무장갑으로 자살을 기도해 중태에 빠지기도 했지만 회복한 뒤 전주교도소로 이감됐다.

유명한 탈주범으로 ‘대도 조세형’도 있다. 전과 11범의 전문 털이범이었던 조세형은 부유층만 털어 ‘대도’라는 별명이 붙었고 1982년 대낮 탈주에 성공해 화제가 됐다. 서울 서소문에 있던 법원에 재판을 받으러 갔다가 수갑과 포승을 풀고 환풍기를 통해 탈출했다. 5박 6일간 음식과 현금을 훔치며 서울 도심을 돌아다니다 경찰이 쏜 총에 가슴을 맞고 붙잡혔다. 1998년 출소한 뒤 절도 행각을 이어가다가 지난 4월 절도 현장에서 붙잡혀 결국 ‘잡범’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강도 혐의 등으로 2001년 체포된 ‘이낙성’에게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05년 복역 중 치질 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병원에서 탈주해 1년 6개월 간 도피행각을 벌였다. 별다른 범죄를 저지르지 않아 행방이 묘연했지만 2006년 술에 취해 건물 계단에서 구르는 바람에 앞니 두 개가 부러지고 턱이 찢어져 병원에 입원하면서 행적이 드러났다. 결국 병원 직원의 신고로 긴 탈주극은 끝을 맺게 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