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무실 ‘비정규직 보호법’… 10명 중 4명 해고당해

유명무실 ‘비정규직 보호법’… 10명 중 4명 해고당해

입력 2013-07-12 00:00
업데이트 2013-07-12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부, 근로자 패널조사

정부가 2007년부터 비정규직 보호를 위해 한 직장에서 2년 이상 근무한 비정규직을 원칙적으로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토록 한 비정규직 보호법을 시행하고 있지만 실제 비정규직 노동자 10명 가운데 4명꼴로 해고를 당하는 등 해당 법률이 유명무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고용노동부가 2010년 4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기간제 노동자(비정규직) 2만명을 표본으로 조사해 공개한 ‘고용형태별 근로자패널 1~8차 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 보호법상 사용기간 제한(2년)이 적용되는 노동자는 모두 121만 5000명으로 이 가운데 47.3%(57만 5000명)는 기존 일자리를 지켰지만 절반 이상인 52.7%(64만명)는 일자리를 옮기거나 실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직장을 떠난 ‘일자리 이동자’ 64만명 가운데 69.4%는 재취업에 성공했지만 12.8%는 실업 상태를 유지했고 17.9%는 육아 및 가사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포기했다.

일자리 이동의 자발성 여부를 따져본 결과 61.3%는 자발적으로 직장을 떠났지만 38.7%는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직장을 떠났다고 답해 해고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실업 상태에 빠진 사람의 53.2%는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직장을 떠났다’고 답했다.

반면 전체 기간제 노동자 가운데 정규직으로 전환됐거나 정규직 일자리로 옮긴 사람은 11.4%(13만 90 00명)에 불과했고 무기계약 간주자는 34.9%(42만 4000명)로 집계됐다.

기간제 노동자의 임금상승률은 10.7%로 전체 노동자의 평균 임금상승률(5.8%)보다 4.9% 포인트 높았다. 사회보험 가입률의 경우 고용보험은 50.8%에서 58.1%, 건강보험은 65.5%에서 73.3%, 국민연금은 54.2%에서 73.3%로 늘어났다.

정호희 민주노총 대변인은 “고용노동부는 무기계약직을 ‘사실상 정규직’이라며 현실을 호도하고 있다”면서 “비정규직 보호법도 궁극적으로는 무기계약직이 아닌 정규직 전환으로 개정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3-07-12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