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루에 먹는 당류의 양이 최근 3년 사이 16% 이상 늘었다. 당류 섭취량이 가장 많은 연령층은 12~18세 청소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이 61.4g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청소년들은 전체 국민 평균보다 13% 많은 69.6g이었다. 19~29세(68.4g), 30~49세(65.3g) 연령대 역시 평균을 웃돌았다.
과일(24.9%)이 당류 공급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음료류(18.1%), 농축수산물 등 원재료성 식품(12.5%), 설탕과 기타 당류(9.6%), 빵·과자·떡류(8.6%), 우유(5.7%) 등 순이었다. 연령대별로는 1~2세는 우유, 3~11세와 30세 이상은 과일, 12~29세는 음료류를 통해 당류를 주로 섭취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표본 수와 조사 방식 등에 차이가 있긴 하지만, 2008년과 2011년을 비교하면 국민 1인당 당류 섭취량은 56.0g에서 65.3g으로 16.6% 늘었다. 이는 ‘총에너지 섭취의 10~20% 권장(2000㎉ 기준 50~100g)’이라는 한국영양학회 기준에 비춰 적정 범위를 벗어나지는 않은 상태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이 61.4g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청소년들은 전체 국민 평균보다 13% 많은 69.6g이었다. 19~29세(68.4g), 30~49세(65.3g) 연령대 역시 평균을 웃돌았다.
과일(24.9%)이 당류 공급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음료류(18.1%), 농축수산물 등 원재료성 식품(12.5%), 설탕과 기타 당류(9.6%), 빵·과자·떡류(8.6%), 우유(5.7%) 등 순이었다. 연령대별로는 1~2세는 우유, 3~11세와 30세 이상은 과일, 12~29세는 음료류를 통해 당류를 주로 섭취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표본 수와 조사 방식 등에 차이가 있긴 하지만, 2008년과 2011년을 비교하면 국민 1인당 당류 섭취량은 56.0g에서 65.3g으로 16.6% 늘었다. 이는 ‘총에너지 섭취의 10~20% 권장(2000㎉ 기준 50~100g)’이라는 한국영양학회 기준에 비춰 적정 범위를 벗어나지는 않은 상태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3-09-0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