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지역’ 경남 메르스 첫 환자 시민들 ‘당황’

‘청정지역’ 경남 메르스 첫 환자 시민들 ‘당황’

입력 2015-06-11 13:40
업데이트 2015-06-11 1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진있음>>입원·경유 병원 휴업·의료진 출근금지…”아파도 병원 안 가”

‘메르스 청정지역’을 유지해온 경남에서 처음으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가 나오자 시민들이 병원 치료를 꺼리는 등 불안해하고 있다.

이 환자는 메르스 환자가 나왔던 병원에 입원했거나 응급실을 이용하지 않았고 다른 진료과 외래진료를 받은 것으로 드러나 ‘응급실 밖 외래진료’ 첫 감염 사례가 됐다.

경남 최초 메르스 환자인 조모(77) 할머니가 서울서 내려와 엿새간 입원했던 창원SK병원은 11일 오전부터 휴원에 들어갔다.

조 씨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정형외과 외래 진료를 받은 후 지난 5일부터 10일까지 이 병원에 입원했다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창원SK병원 출입문은 ‘메르스 관련해 6월 11일부터 24일까지 외래 및 응급실 진료가 불가하오니 많은 양해바랍니다’란 내용의 휴진 안내서가 붙은 채 닫혀 있었다.

유리 출입문 너머에는 마스크와 모자를 쓰고 분무기를 메고 병원 내부를 소독하는 방역 직원들의 모습이 간간이 눈에 띄었다.

마스크를 쓴 한 병원 직원은 닫힌 출입문 너머에서 “병원 사정으로 휴진한다”는 말을 되풀이 했다.

그러나 오전 내내 이를 모르고 병원을 찾는 환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김모(60·여)씨는 “당뇨가 있어 이 병원에 계속 다니고 있다”며 “의사 처방전도 없는데 약국에서 약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걱정스럽게 말했다.

조 씨가 외래진료를 받았던 병원에도 불똥이 튀었다.

조씨가 무릎·허리 치료를 받은 창원힘찬병원은 병원내 CCTV 영상을 분석해 조 씨를 치료했거나 접촉한 의료진들을 파악해 출근하지 못하게 했다.

병원 관계자는 “휠체어에 탄 조 씨가 자유롭게 병원을 돌아다니지 못했지만 예방 차원에서 접촉 의료진을 자가격리했다”고 말했다.

조 씨가 거치지 않은 다른 병원들에서도 전국적인 메르스 확산 탓인지 환자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

창원시내 한 종합병원에선 이날 오전 소아과 환자가 급감했다.

이 병원에서는 소아과 진료를 받으려면 대기표를 받고 1~2시간을 기다리는게 보통이었으나 이날은 대기없이 곧바로 진료가 가능할 정도로 어린이, 영·유아 환자가 줄었다.

병원 측은 소아과 예약 취소 환자가 오전에만 100여건에 달했다고 말했다.

이 병원 관계자는 “김해 쪽 예약 취소 환자가 줄을 잇고 있다”고 말했다.

창원시내 다른 병원들도 메르스 여파로 소아과 환자가 줄었다고 입을 모았다.

한 병원 관계자는 “창원에서 메르스가 발생했다는 소식에 부모들이 겁을 먹고 아이가 아픈데도 병원진료까지 주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창원시가 공식 페이스북인 ‘창원광장’에 올린 메르스 확진환자 발생을 알리는 글에 조 씨 가족들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 환자 가족들의 개인정보가 적힌 댓글이 계속 붙어 창원시가 숨김 처리를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