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여파’진주의료원 폐업’ 문제 다시 부상하나

메르스 여파’진주의료원 폐업’ 문제 다시 부상하나

입력 2015-06-11 14:35
업데이트 2015-06-11 14: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여파로 2013년 진주의료원을 강제 폐업한 홍준표 경남도지사에게 다시 비판이 제기됐다.

무소속 여영국 경남도의원은 11일 제327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2003년 사스, 2009년 신종플루, 올해 메르스 사태로 공공병원의 중요성은 명확히 확인됐다”며 홍 지사를 향해 포문을 열었다.

여 의원은 “메르스 사태에서 보듯 민간 병원은 감염병 환자의 입원 사실조차 숨기거나 환자 치료를 거부하고, 보건복지부에서 치료병원으로 지정하려고 해도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 역할을 공공병원에서 담당했고, 진주의료원도 그런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08년 신축 이전한 진주의료원은 2009년 신종플루 당시 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 5개월 동안 1만2천명의 환자를 진료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국가 의료재난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공공병원을 확충하는 것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할 일”이라며 “전국에서 인구·면적당 지역거점 공공병원이 가장 적은 지역이 경남인데도 홍 지사는 있던 진주의료원마저 폐업했다”고 비판했다.

진주의료원 주민투표 운동본부도 이달 초 기자회견을 열고 “진주의료원을 재개원해 공공의료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운동본부는 이어 “도민 건강과 생명을 돌보고 도민을 안심시키기 위해 모든 역량을 투입해야 할 시기인데도, 도는 강제 폐업한 지역거점 공공병원을 홍 지사 공약인 서부청사로 활용하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또 운동본부는 진주의료원 중환자실에 음압시설(기압 차를 이용해 공기가 항상 병실 안쪽으로만 유입되도록 설계된 시설)이 있어 신종플루를 진료할 수 있었다며 공공병원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노동당 경남도당도 앞서 “외국에서도 공중보건에 위해가 되는 신종 감염병 관리는 주로 공공병원에서 담당한다”며 진주의료원 재개원을 촉구했다.

한편 진주의료원 중환자실 음압시설과 관련, 도는 “진주의료원 폐쇄 당시 병원·병실배치도를 조사한 결과 진주의료원에는 음압시설이 없었다”며 운동본부 측 관계자를 지난 10일 창원지검에 고소, 양측이 진실공방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