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법규 위반 버스 사망사고는 월요일 퇴근시간이 가장 많아

교통법규 위반 버스 사망사고는 월요일 퇴근시간이 가장 많아

입력 2016-02-28 17:07
업데이트 2016-02-28 17: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경찰청, 4월부터 법규위반 집중단속

경기지역에서 교통법규 위반으로 발생한 버스 사망사고는 월요일, 퇴근시간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경기지방경찰청이 분석한 ‘2015년 교통법규 위반 버스사고 통계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해 총 3천173건의 법규 위반 버스사고가 발생했다.

이 중 전방주시 태만 등 안전운전 의무위반이 1천645건(51.8%)으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신호위반 338건(10.6%), 안전거리 미확보 153건(4.8%) 순이었다.

요일별 버스 교통사고 사망자는 월요일(20%)이 가장 많았으며, 버스 교통사고 발생량이 가장 많은 날은 목요일(16.3%)이었다.

시간대별 법규위반 버스 교통사고 발생은 퇴근시간대인 오후 6시∼8시(14.1%)가 가장 높았다. 이 시간대 사망자 역시 21.8%로 가장 높았다.

최근 3년간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는 2013년 928명에서 2015년 868명으로 60명(6.4%)명 감소한 데 반해 법규 위반 버스에 의한 교통사고는 같은 기간 47명에서 55명으로 8명(17%)이 증가했다.

경기경찰청은 최근 도내 37개 버스업체 관계자와 간담회를 열고 주간 전조등을 켜 교통사고 예방을 높이는 ‘안매켜소 운동’ 참여를 당부했다. 또 4월부터 캠코더 촬영 등 교통법규 위반 버스를 집중적으로 단속할 방침이다.

안매켜소 운동이란 ‘안전띠 매기, 주간 전조등·방향지시등 켜기’로 원활한 교통 소통을 확보하는 경기경찰청의 교통사고 예방 운동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