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긴급신고가 범죄신고 112와 재난신고 119로 각각 통합되고 민원·상담 전화는 110로 단일화 된다. 국민안전처는 시범서비스를 거친 후 10월에는 긴급신고 통합체계를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안전처는 긴급신고 통합체계가 구축되면 현재 15개 기관에서 운영하는 21개 신고전화번호가 범죄 긴급신고 112와 재난 긴급신고 119, 비긴급 상담·민원 110으로 통합된다고 7일 밝혔다. 해양 긴급신고 122 등 현행 신고전화번호를 누르더라도 각각에 해당하는 서비스로 계속 연결된다.
긴급신고 공동관리센터를 통해 신고접수단계부터 대응기관 사이에 신고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여러 기관의 담당자에게 반복적인 설명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 특정 기관으로 신고전화가 폭주하거나 시스템 장애가 생겼을 때 비상 접수도 원활하게 이뤄진다.
이성호 안전처 차관은 “안전을 바라는 국민 염원을 담아, 10월 긴급신고 통합서비스가 차질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빈틈 없이 구축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안전처는 긴급신고 통합체계가 구축되면 현재 15개 기관에서 운영하는 21개 신고전화번호가 범죄 긴급신고 112와 재난 긴급신고 119, 비긴급 상담·민원 110으로 통합된다고 7일 밝혔다. 해양 긴급신고 122 등 현행 신고전화번호를 누르더라도 각각에 해당하는 서비스로 계속 연결된다.
긴급신고 공동관리센터를 통해 신고접수단계부터 대응기관 사이에 신고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여러 기관의 담당자에게 반복적인 설명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 특정 기관으로 신고전화가 폭주하거나 시스템 장애가 생겼을 때 비상 접수도 원활하게 이뤄진다.
이성호 안전처 차관은 “안전을 바라는 국민 염원을 담아, 10월 긴급신고 통합서비스가 차질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빈틈 없이 구축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