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 중국 내 북한식당에서 일하다 집단 탈출해 국내에 입국했던 북한 여성 종업원 12명 중 일부가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 여종업원 중 일부는 지난해 원하는 대학에 편입했고, 일부는 올해 정원 외 특례입학으로 진학했다”고 밝혔다. 대부분 20대 초중반인 이들은 한국 사회에 보다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대학 교육을 희망, 각자의 관심사에 따라 학과를 선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당국자는 “탈북 여종업원들은 학업에 정진하며 원하는 대로 생활하고 있다”면서 “다만 자세한 근황이 알려지는 것은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전해 왔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여종업원들의 신변보호를 위해 이들이 어느 대학, 어느 학과에 진학했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앞서 중국 닝보 류경식당에서 일하던 여종업원 12명과 남성 지배인 1명은 집단으로 탈북해 지난해 4월 7일 한국에 입국했다. 이들은 이례적으로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의 12주 교육 없이 4개월의 유관기관 합동조사를 거쳐 같은 해 8월 사회에 진출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정부 당국자는 “북한 여종업원 중 일부는 지난해 원하는 대학에 편입했고, 일부는 올해 정원 외 특례입학으로 진학했다”고 밝혔다. 대부분 20대 초중반인 이들은 한국 사회에 보다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대학 교육을 희망, 각자의 관심사에 따라 학과를 선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당국자는 “탈북 여종업원들은 학업에 정진하며 원하는 대로 생활하고 있다”면서 “다만 자세한 근황이 알려지는 것은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전해 왔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여종업원들의 신변보호를 위해 이들이 어느 대학, 어느 학과에 진학했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앞서 중국 닝보 류경식당에서 일하던 여종업원 12명과 남성 지배인 1명은 집단으로 탈북해 지난해 4월 7일 한국에 입국했다. 이들은 이례적으로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의 12주 교육 없이 4개월의 유관기관 합동조사를 거쳐 같은 해 8월 사회에 진출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7-03-2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