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해병대 일체감 강화 조치” “소속감 저하·예산 낭비” 비판
해군이 해병대의 상징인 ‘팔각모’를 해군도 쓰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해군과 해병대의 일체감 강화를 위한 조치라지만 오히려 해군과 해병대의 소속감을 약화시키고 예산만 낭비하는 ‘탁상행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하지만 해군은 해상·수중 작전 위주인 반면 해병대는 해상에서 육지로 진격하는 상륙작전을 주임무로 수행하면서 해병대와 해군은 서로 다른 병영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팔각모는 해병대와 해군 해난구조대(SSU)·특수전전단(UDT) 등 군기가 세기로 유명한 일부 부대에만 허용돼 소속 장병들의 자긍심을 강화하는 역할을 해 왔다.
이에 일체감을 위한 조치가 오히려 해병대와 해군 모두의 소속감과 자긍심 등을 떨어뜨리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교체 예산도 일부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군은 2014년에는 해병대 장병들에게 해·공군에서 쓰는 게리슨모(챙이 없는 삼각모)를 지급하겠다고 밝혀 비슷한 논란을 일으켰다. 군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며 예비역 단체 등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결정할 것”이라면서 “피복 구매권 활용, 혼착 기간 연장 등으로 소요 예산도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7-03-2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