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난이도가 너무 쉽다는 지적을 받아왔던 이륜자동차(오토바이) 면허 학과(필기)시험이 더 어려워 진다.
도로교통공단은 이륜자동차 운전면허 학과시험을 내년 1월 2일부터 개선해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문제유형은 기존 O, X 형에서 4지선다형으로 복잡해지고, 학과시험 문제은행 문항수도 현행 300개에서 66.6% 증가한 500개로 늘어난다.
이륜자동차는 구조적 특성상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일반 자동차 보다 인명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이륜자동차 교통사고 치사율은 전체 교통사고 대비 1.7배이고, 기기조작 미숙 등으로 인한 차량 단독 사고도 전체 교통사고 대비 약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16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이륜자동차 교통사고는 총 1만 3076건으로 5년 전인 2011년(1만 170건)에 비해 28.6% 증가했다. 이중 428명이 목숨을 잃었고, 1만 5773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정근 운전면허본부장은 “이번 시행으로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운전능력 향상과 교통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면서 “이륜자동차 운전면허 응시자의 불편과 혼란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도로교통공단은 이륜자동차 운전면허 학과시험을 내년 1월 2일부터 개선해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문제유형은 기존 O, X 형에서 4지선다형으로 복잡해지고, 학과시험 문제은행 문항수도 현행 300개에서 66.6% 증가한 500개로 늘어난다.
이륜자동차는 구조적 특성상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일반 자동차 보다 인명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이륜자동차 교통사고 치사율은 전체 교통사고 대비 1.7배이고, 기기조작 미숙 등으로 인한 차량 단독 사고도 전체 교통사고 대비 약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16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이륜자동차 교통사고는 총 1만 3076건으로 5년 전인 2011년(1만 170건)에 비해 28.6% 증가했다. 이중 428명이 목숨을 잃었고, 1만 5773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정근 운전면허본부장은 “이번 시행으로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운전능력 향상과 교통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면서 “이륜자동차 운전면허 응시자의 불편과 혼란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