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지침 어기고 테이저건 쏜 경찰 목 조른 20대 ‘정당방위’

사용지침 어기고 테이저건 쏜 경찰 목 조른 20대 ‘정당방위’

입력 2017-11-22 14:58
수정 2017-11-22 14: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위급상황 아닌데 경고 없이 가까운 거리서 발사”…항소심도 무죄

사용지침을 어기고 전자충격기(테이저건)를 발사한 경찰관의 목을 조른 혐의로 기소된 20대에게 항소심재판부도 무죄를 선고했다.

대전고법 제1형사부(차문호 부장판사)는 22일 공무집행방해 및 상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26) 씨 등 2명의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충남 천안의 한 노래연습장에서 ‘술을 판매한다’는 신고를 받고 경찰관들이 출동했다.

노래연습장 운영자의 친구인 B씨는 현장 조사에 나선 경찰관들을 밀치거나 욕설을 하며 공무집행을 방해했다.

경찰은 B씨를 체포하려고 수갑을 채우려 했지만, 강하게 저항해 수갑을 못 채우게 되면서 아무런 경고 없이 테이저건을 쐈다.

전기 충격으로 쓰러진 B씨에게 경찰이 또 테이저건을 쏠 것처럼 행동하자 일행이던 A씨 등 2명이 경찰의 팔을 잡아당기고 목을 졸랐다.

이로 인해 공무집행방해와 상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 등은 국민참여재판을 신청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배심원 7명 모두 무죄 의견을 낸 것이다.

다만 혐의가 인정된 B 씨에게는 징역 10월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40시간이 선고됐다.

검찰은 당시 적법한 공무집행이었다며 무죄가 선고된 A씨 등 2명을 상대로 항소했다.

그러나 항소심재판부는 “최초 B씨를 제압할 당시 경찰관이 위급한 상황이 아님에도 지침을 어기고 경고 없이 가까운 거리에서 테이저건을 쐈다”는 이유를 들어 항소를 기각했다.

경찰의 ‘전자충격기 사용 및 관리지침’에는 상황이 급박한 경우가 아니면 미리 구두로 경고한 뒤 사용해야 하고, 생명에 위험을 초래하므로 연속 발사하거나 발사 후 계속 방아쇠를 당기면 안 된다고 명시돼 있다.

안면 등에 조준해서도 안 되고, 가급적 정지 상태에서 가슴 이하 하복부 등 중심의 근육 부위에 조준하고, 적정 사거리는 3∼4.5m로 규정하고 있다.

재판부는 “출동한 경찰이 함께 B씨의 저항을 제압하면 충분히 체포할 수 있었다”며 “전자충격기와 같은 위해성 경찰 장구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볼 만한 이유가 없다”고 판시했다.

이어 “피고인들이 경찰의 목을 조르게 된 것은 위법한 공무집행에 저항한 것으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되지 않는다”며 “상해 역시 B씨의 생명과 신체에 발생할 부당한 위험을 방위하기 위한 행위로 정당방위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