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미래숲은 2009년부터 중국 공청단과 협약을 맺고 중국 내몽고 쿠부치사막에 지속적인 나무를 심어 황사와 사막화에 대응하고 있다. 쿠부치사막은 중국 내몽고와 몽고에서 발원한 황사가 지나가는 주요 바람길 중 하나다.
이에 경기도와 미래숲은 2009년부터 중국 공청단과 협약을 맺고 중국 내몽고 쿠부치사막에 지속적인 나무를 심어 황사와 사막화에 대응하고 있다. 쿠부치사막은 중국 내몽고와 몽고에서 발원한 황사가 지나가는 주요 바람길 중 하나다.
미래숲은 이곳에 약 440ha 면적에 115만 여 그루의 나무를 심어 황사발원지를 녹화하고 사막화 방지에 기여했다. 사막 귀퉁이에 숲을 일궈 ‘녹생장성’을 만들어 이를 울타리로 삼아 황사의 확산을 막는 것.
사막은 강수량이 적고 건조하기 때문에 동식물과 사람이 살 수 없는 지역으로 처음 사막에 나무를 심는다고 밝혔을 때 전문가들은 회의적이었으나 미래숲이 사막에 심은 나무는 당해년도 85% 이상의 활착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성공 바탕으로 중국 정부는 쿠부치사막의 조림사업을 모범 사례로 손꼽고 있다.
쿠부치사막에 심은 나무가 성공적인 활착률을 보일 수 있었던 것은 황하 지류에 가까워 지하수위가 비교적 높은 편이기 때문이라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미래숲 측은 사막화를 막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옥상에 텃밭 만들기, 실내 식물 가꾸기, 에너지 절약과 일회용품 사용하기 말기, 분리수거 철저히 하기 등 일반인들이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미래숲 관계자는 “본 사업을 통해 사막에 녹색장성을 만들어 중국 내 사막화 방지와 한국의 황사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중국과 한국이 꾸준한 환경협력을 할 것을 약속하며 전 세계 지구환경을 살리는 원동력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중문화청소년협회 미래숲은 1998년 주중대사를 역임한 권병현 대표가 설립한 단체다. 권 대표 스스로 북경 현지에서 심각한 황사를 체험한 후 2002년부터 중국 공청단과 함께 중국 내 사막화 방지, 황사 발원지 녹화를 통한 환경복원활동을 펼치고 있다. 1992년 한중 수교 때도 실무 책임자로 깊이 참여했던 권 대표는 한국과 중국의 끊어진 100년을 회복하기 위해 중국 정부에 ‘사막 나무 심기’를 제안한 바 있다.
또한 미래숲은 산림청, 경기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대한항공, BC카드, 샘소나이트, GKL등 여러 단체와 함께 2017년까지 3000ha대상지에 900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 황사와 사막화를 막는데 앞장서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