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차 내 폭행 ‘빨간 버튼‘으로 해결한다

구급차 내 폭행 ‘빨간 버튼‘으로 해결한다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0-02-05 15:26
업데이트 2020-02-05 15: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단계로 녹색 버튼을 누르면 차내에 폭행 경고 방송이 나오고 이후에도 폭행 위협이 계속되면 빨간 버튼을 눌러 112 자동신고를 할 수 있다. 소방청 제공
1단계로 녹색 버튼을 누르면 차내에 폭행 경고 방송이 나오고 이후에도 폭행 위협이 계속되면 빨간 버튼을 눌러 112 자동신고를 할 수 있다.
소방청 제공
구급현장에서 119대원들이 이송환자 등으로부터 폭행당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보호기능을 갖춘 구급차가 보급된다.

소방청은 올해부터 신규 도입되는 119구급차에 폭행 경고·자동신고 장치를 설치한다고 5일 밝혔다.

새로 보급되는 구급차에는 환자를 싣고 가는 환자실에 경고방송과 자동신고를 할 수 있는 버튼이 설치된다.

1차적으로 폭력행위가 우려될 경우 초록색 ‘폭행경고 버튼’을 누르면 경고방송이 나오고 운전석에는 폭행 관련 위급상황이 생겼음을 알리는 경고등이 들어온다. 경고방송 후에도 폭행 위험이 커지면 붉은색 ‘자동신고’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119와 112상황실로 신고접수와 위치정보 전송이 자동으로 이뤄진다.

소방청 관계자는 “이러한 경고·신고 기능은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할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소방청은 올해 구급차 표준규격에 이 기능을 필수로 포함시켜 상반기 제작되는 225대부터 적용한다.

또 현재 운행 중인 구급차 1586대에도 내년까지 설치를 마칠 계획이다. 출고 3년 이하 차량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119대원들은 구조·구급 과정에서 취객 등으로부터 폭행·폭언에 시달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2018년에는 전북 익산소방서 소속 구급대원 강연희 소방경이 취객 폭행으로 치료를 받다 숨지기도 했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15∼2019년)간 구급대원 폭행 피해는 한 해 평균 197건이 발생했다.

강대훈 소방청 119구급과장은 “구급차 내 폭행 경고·신고장치 외에도 구급대원에 폭력행위를 하는 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등 안전한 근무환경을 위한 제도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