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거주 국민에 돌아오는 혐오…“바이러스 취급하며 조롱”

해외 거주 국민에 돌아오는 혐오…“바이러스 취급하며 조롱”

강경민 기자
입력 2020-02-05 11:18
업데이트 2020-02-05 1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흥민 경기 중 기침에 ‘신종코로나 아니냐’ 현지 댓글

“주말에 카페에서 쉬고 있는데, 주변을 지나던 프랑스인들이 저를 보며 ‘바이러스’, ‘병균’이라고 말하면서 키득거리는 걸 봤어요”

“지하철에서 마스크를 쓰고 있었는데, 한 캐나다 아이가 나를 보고 엄마에게 ‘저 사람은 왜 마스크를 쓰고 있냐’고 물으니 엄마가 ‘아시아인들 사이에서만 옮기는 전염병 때문이다’라고 대답했어요”

“헝가리 의대에서 유학 중인데, 학교에서는 동양인이 재채기만 한 번 해도 사람들이 쳐다봐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에 대한 불안이 확산하는 가운데, 해외에 거주하는 일부 국민들이 일상에서 인종차별을 겪는다고 호소하고 있다.

프랑스 니스에서 교환학생으로 공부 중인 조 모(27) 씨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회 분위기상 대놓고 동양인에 대해 인종차별을 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는데, 신종코로나가 발병한 이후로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고 5일 전했다.

조 씨는 바이러스 취급을 하며 조롱하는 등 일상적인 차별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고 호소했다.

지난 3일 손흥민(토트넘) 선수가 맨체스터 시티와 경기에서 승리한 뒤 인터뷰에서 잔기침을 하자 각종 SNS에서는 “손흥민의 혈관에 바이러스가 흐른다” 등 신종코로나와 연관 짓는 조롱성 게시물이 다수 올라오기도 했다.

신종코로나 감염에 대한 불안이 국내 체류 중국인에 대한 혐오로 변질돼 확산하면서, 이러한 혐오와 배제가 우리 국민에게 돌아온다는 지적도 나온다.

부산에 사는 주부 윤 모(59)씨는 “신종코로나 사태 이후 주변에 중국인을 싫어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면서 “딸이 독일 베를린에서 유학 중인데, 혹시 국내 중국인들과 같은 취급을 당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혐오의 감정도 상호적인 것이어서, 국제화된 환경에서는 혐오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건강과 사회적 안전의 문제와 결부될 때 혐오의 감정이나 태도가 굉장히 빠르게 확산하곤 한다”면서 “질병에 대한 두려움이 혐오와 차별의 마음과 결합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신종코로나와 관련된 인종 갈등은 생명과 직결된 문제라는 특수성이 있기는 하지만, 똑같이 보호받아야 하는 시민들이 ‘병균 덩어리’나 ‘숙주’로 취급되는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신종코로나 사태가 조금 진정되고 나면 ‘다른 것에 대한 혐오’를 진단하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면서 “결국 우리와 자식 세대에 피해가 돌아오지 않도록 시민사회의 국제적 공조로 혐오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