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완치→항체 형성 후에도 48% 또 양성”

“코로나19 완치→항체 형성 후에도 48% 또 양성”

이보희 기자
입력 2020-04-22 17:04
업데이트 2020-04-22 17: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감염된 후 항체가 형성돼도 바이러스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연구시험 결과 드러났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2일 정례브리핑에서 “환자에 따라서 중화항체가 형성돼도 바이러스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체내에 남아 있는 기간이 다를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며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시험은 환자가 감염 후 회복되어 항체가 형성된 다음에도 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25명의 환자는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음성’ 진단을 받아 회복기에 들어간 사람들이다.

분석 결과, 25명의 환자 모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중화항체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2명은 중화항체 형성에도 불구하고 호흡기 검체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48%가 ‘양성’ 판정이 나온 것.

질병관리본부는 이들 12명에게서 호흡기 검체를 채취해 바이러스 분리배양검사를 실시했다. 바이러스의 전파력을 보기 위해서다. 현재까지 진행된 1차 검사에서는 바이러스 조각이 나오지 않았다. 이는 바이러스의 분리 배양이 안된다는 뜻으로 재양성 시 전파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이 실험 뿐 아니라 격리해제 이후 재양성을 받은 실제 사례를 대상으로 역학조사와 바이러스 검사도 진행하는 중이다. 재양성자에 대한 바이러스 배양검사는 이날까지 39건을 진행해 6건의 결과가 나왔다. 6건 모두 분리배양검사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정 본부장은 “유전자 증폭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사례에 대해 역학조사와 바이러스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일단 분리배양검사 결과가 6건은 음성이기 때문에 전염력은 거의 없거나 낮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 본부장은 “격리해제 후에 진단검사 결과에서 다시 재양성이 나오는 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되는지, 또 원인에 대한 조사를 해보겠다”면서 “그 결과에 따라 격리해제 기준이나 격리해제 환자에 대한 지침을 보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