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남관 “검찰, 기득권 지키려 정의 모르는 척 눈 감은 적 있다”

조남관 “검찰, 기득권 지키려 정의 모르는 척 눈 감은 적 있다”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4-01 16:58
수정 2021-04-01 16: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동산 투기 근절’ 검사장 회의 주재하는 조남관 검찰총장 직무대행
‘부동산 투기 근절’ 검사장 회의 주재하는 조남관 검찰총장 직무대행 조남관 검찰총장 직무대행(대검 차장)이 31일 부동산 투기 근절을 위한 전국 검사장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1.3.31
대검찰청 제공
“억울함 풀어주는 공정한 검사 돼야”…신임 검사에 당부
조남관 검찰총장 직무대행(대검찰청 차장)은 1일 대검에서 열린 군법무관 출신 신임 검사 4명(사법연수원 47기)의 신고식에서 “국민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공정한 검사가 되어 달라”고 당부했다.

조남관 대행은 “억울함을 풀어주려면 먼저 공정해야 하고, 힘들겠지만 겸허하고 낮은 자세로 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정의로운 검사가 되어 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검찰은 조직의 뛰어난 수사 역량과 직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신뢰를 온전히 받지 못했다”며 “지위를 잃을까 두려워 정의를 세우는 데 용기를 내지 못한 적이 있었고,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정의를 모르는 척 눈 감은 과거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반성했다.

이어 “항상 과학수사를 통해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고 인권을 옹호하는 검사가 되어 달라”며 “진술과 조서에만 매달려 피조사자를 압박하는 자백 위주의 수사는 이제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앞으로 처리하는 사건에서 범죄 자체뿐 아니라 죄를 저지른 사람에 대해서도 억울함이 없도록 한 번 더 살펴 달라”며 “죄가 발생하게 된 원인과 사회적 배경도 고려해 ‘마음속의 그늘’을 걷어낼 수 있는 따뜻한 검사가 되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