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여기” “굳이 여기?”… 팽목항 세월호 추모시설 이전 갈등

“꼭! 여기” “굳이 여기?”… 팽목항 세월호 추모시설 이전 갈등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입력 2021-04-26 17:48
업데이트 2021-04-27 1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도 군민 vs 유가족 안타까운 대립

유족 “4·16 기억관 참사 현장 존치 해야”
주민 “7년 희생… 언제까지 참아야 하나”
진도군은 곤혹… “시설물 자진폐쇄 하길”

팽목항, 여객선터미널·배후단지 공사중
정부, 항구 600m거리 ‘안전관’ 12월 완공
이미지 확대
진도 팽목항에 남아 있는 세월호 팽목기억관 내부 모습. 세월호 유가족들은 계속 존치를 주장하고 있지만, 지역 주민들은 인근에 들어설 국민해양안전관으로 옮기길 요구하고 있다.
진도 팽목항에 남아 있는 세월호 팽목기억관 내부 모습. 세월호 유가족들은 계속 존치를 주장하고 있지만, 지역 주민들은 인근에 들어설 국민해양안전관으로 옮기길 요구하고 있다.
‘진도 팽목항에 추모시설을 만들 필요가 없다.’ VS ‘세월호 참사 현장인 팽목항에 꼭 설치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 7주기가 지난 지 얼마되지 않은 26일 전남 진도 팽목항이 또다시 논란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세월호 희생자 수습 장소였던 팽목항에 작게라도 추모와 상징의 공간을 남겨야 한다는 일부 유가족과 여객선터미널과 배후단지를 개발 중인 지역 주민들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것이다. 지역 주민들은 “지난 7년 동안 많은 희생을 겪어왔는데 언제까지 세월호의 아픔만 기억하고 참으라는 말이냐”며 반발하고 나섰다.

세월호 참사를 잊지 않고 국민안전 의식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2019년부터 팽목항에서 600여m 떨어진 곳에 ‘국민해양안전관’을 짓고 있다. 공사 진척률은 55%로 오는 12월 완공 예정이다. 해양안전체험관과 유스호스텔, 세월호 희생자들을 잊지 않기위한 ‘해양안전정원’과 리본 형상을 한 4·16 기억관 등이 들어선다.

하지만 일부 유가족들은 팽목항에 남아있는 세월호 추모시설인 ‘4·16 기억관’을 국민해양안전관으로 이전하지 말고 그대로 존치해야 한다는 주장을 꺾지 않고 있다. 팽목항 가족 컨테이너에서 혼자 생활하고 있는 유가족 고영환씨와 일부 시민단체는 이곳 팽목항에 6.5~9.7㎡ 규모의 4·16 기록관을 조성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고씨는 “더 이상 이런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모두가 기억하는 장소로 남아야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역 주민들은 “세월호 아픔을 기억하는 하늘우체통 등이 있는 방파제는 지금처럼 계속 존치한다”면서 “사고해역을 조망할 수 있는 기억 공간과 안전체험관 등으로 꾸며지는 국민해양안전관으로도 충분히 세월호 교훈을 배울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일부 유가족이 ‘현재 남아 있는 컨테이너를 철거하겠다’는 약속도 세차례나 어겼다”고 했다.

진도군청 퇴직 공무원과 사회단체, 주민들로 구성된 진도군 현안대처위원회측은 “사고 당시 생존자 74%를 구조했던 조도면 어민들은 양식장 오염 등 생업에 막대한 지장을 입었지만 최근 2심에서도 패소할 정도로 국가 보상을 받지 못하는 억울함을 안고 있다”면서 “이제 진도 군민들도 희망을 갖고 살아가야하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진도군은 곤혹스럽다는 반응이다. 군 관계자는 “팽목항에 남은 컨테이너 5개를 빨리 철거하라는 주민들의 항의가 많이 들어온다”며 “행정대집행을 하든지 철거하지 않을 경우 고발 조치를 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유가족들이 스스로 기억 공간 설립 의견을 철회하고, 시설물도 자진폐쇄 하기만 바란다”고 밝혔다.

글 사진 진도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21-04-27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