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전후 일하는 여성 84.7%→42.4% 급감

결혼 전후 일하는 여성 84.7%→42.4% 급감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1-11-06 07:00
업데이트 2021-11-06 0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맞벌이가 대세라지만 여성의 경우 결혼을 하면 약 절반 정도만 일자리를 유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신혼부부의 일자리 및 주거변동과 출산’ 보고서에 따르면 결혼 전까진 일자리를 가진 경험이 있는 비율이 남성 88.6%, 여성 84.7%로 비슷했다. 그러나 결혼 당시 일자리가 있었다는 응답은 남성 81.5%, 여성 65.1%였고, 현재 시점에도 일자리가 있다는 응답은 남성 78.9%, 여성 42.4%로 36.5%포인트나 차이났다.

남성은 결혼 후에도 일자리를 꾸준히 유지한 반면, 여성은 결혼 이후 일자리를 가진 사람의 비율이 절반 가량 급감한 것이다.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현상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 조사는 결혼 후 7년 이내의 신혼부부(18~49세) 1779쌍, 총 3558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남편의 정규직 비율은 첫 일자리에서 84.5%, 배우자와 교제시 94.3%, 결혼 시 96.8%, 현재 96.9%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내의 정규직 비율은 첫 일자리에서 79.7%, 배우자와 교제시 88.0%, 결혼 시 89.7%로 나타났으며 이후 약간 감소해 현재 시점에는 87.6%로 나타났다.

소득에도 변화가 있었다. 남편의 첫 일자리 소득은 272만 1000원이었으나 결혼 당시에는 337만 9000원, 현재 시점에는 345만 9000원으로 늘었다. 아내의 첫 일자리 소득은 210만 4000원, 결혼 시의 소득은 249만 5000원, 현재 소득은 259만 3000원으로 계속 늘긴 했지만 남편과의 격차가 결혼 전보다 벌어졌다. 일자리와 소득으로 따지면 여성에겐 결혼이 ‘플러스’보다는 ‘마이너스’ 요인인 셈이다.

종사상 지위별 자녀 수를 보면 남편이 상용직인 경우 자녀 수가 2명 이상인 비율이 53.9%로 가장 높았다. 자영업도 2명 이상 비율이 52.2%로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아내는 상용직인 경우 자녀가 2명 이상인 비율(42.9%)이 자영업(42.4%), 임시직(53.9%)보다 낮았다.

육아부담이 여성에게 쏠린 상황에서 상용직보다는 임시직이 자녀를 돌볼 시간을 확보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보고서를 작성한 조성호 부연구위원은 “결혼한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이탈하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일·가정 양립 정책이 더욱 강력하게 추진돼야 하며, 자녀 출산에서 일자리 안정과 자녀를 돌볼 수 있는 시간 확보 또한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