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 사고 1위 충북...절반은 사망, 남성 환자가 여성의 2.8배

중증외상 사고 1위 충북...절반은 사망, 남성 환자가 여성의 2.8배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1-11-23 13:43
업데이트 2021-11-23 1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중증 외상 환자의 절반 이상은 교통사고로 발생하며,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은 충북(46.6명)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제2차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9년 전국에서 발생한 중증 외상 환자는 모두 9115명으로, 이중 4758명(52%)이 사망했다. 중증 외상은 심하면 사망하거나 회복되더라도 중등도 이상의 장애가 남을 수 있는 손상을 말한다. 중등도 이상의 장애가 발생한 환자는 2667명으로, 생존자의 61%에 달했다. 또한 남성 환자(6695명)가 여성 환자(2420명)의 2.8배였고, 연령별로는 50~59세(1907명) 환자가 가장 많았다.

중증 외상의 55%는 교통사고로 발생했고, 지역별로 봐도 교통사고가 발생원인 1위였다. 하지만 서울, 부산, 인천, 광주는 추락이나 미끄러짐으로 중증 외상을 입은 경우가 더 많았다.

인구 10만명당 중증 외상 환자 발생률은 전국이 10만명 당 17.8명 수준이었는데, 지역별로 편차가 컸다. 충북의 발생률(46.4명)이 가장 높았고, 제주(27.9명), 전남(27.1명), 전북(26.9명), 경북(26.6명), 강원(25.9명), 충남(24.3명), 경남(19.4명) 순이었다. 경기도를 제외한 8개 ‘도’지역이 발생률 상위 1~8위를 차지했다.

해당 지역들은 고속도로가 지나거나 렌터카 사고가 많은 곳이다. 이 조사는 중증외상이 주로 발생하는 연령과 원인을 파악하고 각 문제에 집중해 예방대책을 마련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