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이 산불에 폐허가 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빛내림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산림청은 이날 일주일간 이어진 경북 산불의 주불 진화 완료를 선언했다. 연합뉴스
지난 22일 오전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해 강풍을 타고 북동부 5개 시·군으로 번졌던 역대 최악의 산불이 28일 오후 5시부로 진화됐다. 발화 149시간여 만이다.
이번 불로 축구장 6만 3245개, 여의도 156개 면적의 국토가 잿더미로 변했다.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28일 오후 2시 30분쯤 영덕을 시작으로 피해 5개(의성·안동·청송·영양) 시·군의 산불 주불을 차례로 껐다. 경북 산불은 지난 22일 오전 11시 25분쯤 의성군 안평면·안계면 2곳 야산에서 성묘객 실화 등으로 시작됐다. 이후 초속 10m가 넘는 강풍을 타고 북동부권 4개 시·군으로 번졌다.
몸집을 불린 ‘괴물 산불’은 한때 초속 27m의 강풍을 타고 역대 최고치인 시간당 8.2㎞ 속도로 이동했다. 급기야 산림당국은 지난 25일 산불 대응 3단계를 발령하고 진화 헬기와 인력, 장비 등을 대거 동원해 주불 진화에 나섰다. 특히 국가주요시설·민가·문화유산 주변 방화선 구축 등에 힘을 쏟았다.
하지만 강풍과 극도로 건조한 날씨 등 기상 악조건과 현장 진화대원 피로 누적, 진화 헬기 추락 사고 등 문제가 겹치며 진화 작업은 더디게 이뤄졌다. 그 사이 산불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했다. 한때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2~3㎞ 앞까지 불길이 근접하는 아찔한 상황도 빚어졌다.
하지만 지난 27일 오후부터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5개 시·군에 1~3㎜ 가량 비가 내리면서 상황은 반전으로 돌아섰다. 비록 찔끔 비였지만 산불 확산 속도가 둔화했다. 진화 헬기 운용에 장애로 작용하는 연무가 잦아드는 등 기상 여건도 나아졌다. 진화 작업에 속도가 붙었다. 전날 오후 5시 기준 63%에 머물렀던 진화율은 이날 낮 12시 기준 94%까지 치솟았다.
이철우 도지사는 이날 오후 의성 산불 현장지휘본부에서 취재진에게 “오후 5시 전후로 주불 진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예상은 적중했다.
일주일째 계속된 이번 경북 산불에 따른 산불영향구역은 이날 오전까지 4만 5157㏊로 집계돼 역대 최대 산불 피해를 냈다.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산불 피해 범위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안동, 영덕 등에서 주민 등 24명이 사망했고, 주택 등 시설 2412곳이 불에 타는 피해가 발생했다. 이날 오전 기준으로 실내체육관 등으로 대피한 의성, 안동 등지 이재민은 6322명으로 집계됐다.지난 21일 발생한 경남 산청 산불은 28일로 8일째 접어든 가운데 하동으로 번진 주불이 잡히면서 지리산권에 인력과 장비를 집중 배치해 진화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날 낮 12시 기준 진화율은 93%로 집계됐다. 산불영향구역은 1785㏊,전체 화선은 70㎞에 잔여 화선은 지리산권역 5㎞다. 하동에서는 밤사이 진화작업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으며,이날 오전 9시쯤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