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싼 주유상품권’ 269억원치 발행…알고보니 사기

‘18% 싼 주유상품권’ 269억원치 발행…알고보니 사기

입력 2013-06-18 00:00
업데이트 2013-06-18 09: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확인된 피해자만 5천300여 명…”상품권은 휴짓조각”

고유가 시대에 액면가보다 18%나 싸게 주유상품권을 판매하면서 입소문을 탔던 업체가 결국 수많은 피해자들만 남겨둔 채 문을 닫았다.

윤모(44)씨는 지난해 3월 말 경남 창원시 의창구 중앙동에 하나에너지라는 상품권 판매회사를 세웠다.

그의 영업수법은 간단했다.

차량 운전자들에게 액면가보다 18%나 싼 주유상품권을 파는 것이었다.

불황에 조금이라도 차량 유지비를 아끼려는 네티즌들과 운전자들 사이에 ‘하나에너지의 주유상품권을 사면 18%나 싸게 기름을 넣을 수 있다’는 소문이 나면서 이 회사는 금방 화제에 올랐다.

액면가의 1~3%를 이익금으로 제시하며 시·도 본부, 지사, 대리점 순으로 피라미드식 유통구조를 만들었다.

전국에 시·도 본부가 9개, 지사 116개, 대리점 191개가 순식간에 만들어졌다.

대리점들이 개인 회원을 모아 주유상품권을 팔았다.

이 회사는 인터넷 홈페이지도 개설했고 직원 25명까지 채용했다.

윤 씨는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액면가 3만원권, 5만원권, 7만원권, 10만원권 주유상품권을 무려 269억원 어치나 유통시켰다.

차량 운전자들은 액면가 10만원짜리 주유상품권을 18%나 싼 8만2천원에 대리점으로부터 샀다.

대리점은 여기서 액면가의 3%(3천원)를 남긴 7만9천원을 지사로 올려줬다.

지사는 1%(1천원)를 이익으로 남긴 7만8천원을 시·도 본부로, 시·도 본부 역시 1%를 떼고 7만7천원을 윤 씨가 운영하는 본사로 보냈다.

본사는 운전자들이 10만원권 상품권을 사용한 주유소에 액면가인 10만원을 송금해줘야 했기 때문에 23%의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이렇게 판매된 상품권 대금만 150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초기 자본금이 없고 다른 수익모델이 전무한 상태에서 액면가 이하로 상품권을 계속 팔기는 애초부터 불가능한 일이었다.

다른 유사수신업체와 마찬가지로 윤 씨는 주유상품권 판매금액으로만 주유소에 기름대금을 지급하는 돌려막기 수법으로 급한 불을 껐다.

그러나 적자가 계속되면서 가맹 주유소에 기름대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발했다.

결국 이 상품권을 구입한 운전자들은 더는 기름을 넣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인터넷 카페 등에는 ‘하나에너지 주유상품권 사기 피해자 모임’이 결성되는 등 전국 각지에서 피해신고가 잇따랐다.

경찰이 인터넷을 통해 확인한 피해자만 5천300여 명에 달했다.

경찰은 신고하지 않는 사례까지 고려하면 피해자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남 창원서부경찰서는 18일 사기 및 유사수신행위규제에 관한 법률위반 등의 혐의로 하나에너지 대표이사 윤모(44)씨를 구속하고 재무이사 이모(32)씨는 불구속 입건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