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써 키운 월동무 폭락… 눈물의 밭 갈아엎기

애써 키운 월동무 폭락… 눈물의 밭 갈아엎기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4-01-15 16:31
수정 2024-01-15 16: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 7000원대로 뚝…30.4% 하락
농가 손익분기점 1만 1550원 밑으로

이미지 확대
제주월동무연합회가 15일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월동무밭에서 트랙터를 이용해 애써 키운 월동무를 갈아엎고 있다. 제주월동무연합회 제공
제주월동무연합회가 15일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월동무밭에서 트랙터를 이용해 애써 키운 월동무를 갈아엎고 있다. 제주월동무연합회 제공
제주산 월동무 가격이 폭락하자, 산지 농가들이 울며겨자먹기로 월동무 밭을 갈아엎고 있다.

15일 농협 제주본부에 따르면 이날 성산읍 난산리 소재 밭에서 트랙터를 투입돼 30여분 만에 산지폐기 작업을 마무리했다.

앞서 사단법인 제주월동무연합회는 2023년 월동무 자율 폐기 신청을 받아 143개 농가·181.5㏊가 감축하기로 했다. 감축 농가를 지역별로 보면 성산읍 83개 농가·111㏊로 가장 많았고, 구좌읍 43개 농가·55.1㏊, 표선면 11개 농가·9.7㏊, 대정읍 4개 농가·4.3㏊ 등의 순이다.

2023년산 제주 월동무 20㎏ 한 상자의 지난 12일 가락농수산물종합도매시장 평균 경락가는 7937원이었다. 지난해 동기 1만1400원과 비교해 30.4%가 하락했다. 농가 손익분기점인 1만1550원보다 한참 밑으로 떨어진 것이다.

강동만 제주월동무연합회장은 “가격 하락 원인은 월동무 외에는 별다른 대체작물이 없어 과잉생산 고착화됐다”며 2023년산 월동무 생산 과잉과 소비 부진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자구책 마련을 위해 농가들이 자발적으로 산지폐기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제주 월동무는 전국 생산량의 30%를 차지한다. 겨울철 무는 사실상 제주산이 유일하다. 공급기간은 12월부터 4월까지다. 저장물량까지 더하면 국내 유통은 6월까지 이뤄진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