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교수 130명 늘리고, 직원 연봉 5% 장학금 조성

전임교수 130명 늘리고, 직원 연봉 5% 장학금 조성

입력 2013-08-30 00:00
수정 2013-08-30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재정지원제한大 탈출기

2014학년도 재정지원제한대학 명단이 29일 발표되면서 해당 대학들이 침통해하는 가운데, 이들과 달리 지난해 명단에 포함됐다가 ‘탈출’한 대학은 서로 격려하고 자축하는 분위기다. 그러면서도 “정말로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A대는 지난 3월 전임교수 130여명을 한 번에 뽑았다. 방학이면 부족한 인원을 보충하려고 ‘약간 명’을 선발하는 대학 관행에서 볼 때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재정지원제한대학을 지정하는 8대 지표 중 ‘전임교원확보율’이 다른 대학에 비해 낮았던 이 대학이 내린 극약 처방이었다. 470여명의 전임교수를 확보하고 있던 이 대학은 전임교수를 600명으로 늘렸고, 전임교원확보율 지표도 70% 가까이 끌어올렸다. A대 관계자는 29일 “상당히 무리를 하긴 했다. 한꺼번에 많은 교수를 뽑은 터라 내부에서도 교수의 질 담보에 대한 비난이 많았다”면서 “지난해 재정지원제한대학 타격이 그만큼 컸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B대는 장학금 지급률과 학사관리 및 교육과정 지표 때문에 지난해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지정됐다. 이 대학 관계자는 “재단의 자금사정이 넉넉하지 못해 교직원이 연봉에서 5%씩 떼어내 장학금을 조성했다”고 말했다. 이렇게 모은 돈이 7억원을 넘었다.

학점 제도도 대폭 손질했다. 종전에는 A학점은 전체 학생의 30%, B학점은 무한대로 줄 수 있어 ‘학점 인플레’ 비난을 받아왔다. 하지만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된 이후 A학점은 25%로 제한하고, A학점을 포함해 B학점까지는 최대 65%까지만 줄 수 있도록 했다.

대학 관계자는 “학생들의 원성이 있었지만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벗어나는 효과를 봤다”고 말했다.

지난해 취업률을 부실 공시했다가 적발돼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됐던 C대도 절치부심했다. 지난해 10월 총장을 비롯해 모든 보직교수들이 사퇴했다. 재정적 어려움을 덜기 위해 교직원을 대상으로 모금해 10억원이 넘는 자금을 확보했다.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사설업체 컨설팅을 받은 이 대학은 지난 5월 취업률을 높이기 위한 대규모 학과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전체 41개 학과에서 13개 학과가 없어지고 2개 학과가 신설됐다. 이 대학 관계자는 “지난해 대학 전체가 충격을 받았다”며 “구조조정 과정에서 말들이 많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재정지원제한대학 지정은 오히려 대학발전의 기회”라고 되뇌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3-08-3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