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터 등 창작수업 ‘창의적인 괴짜’ 키운다

3D프린터 등 창작수업 ‘창의적인 괴짜’ 키운다

유대근 기자
입력 2017-11-01 22:24
업데이트 2017-11-01 22: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부터 서울 초·중·고 도입

내년부터 서울의 초·중·고등학생들은 3D프린터와 3D펜 등으로 상상해 본 제품을 설계·제작하는 수업을 받는다. 기존 지식과 기술을 그대로 좇는 게 아닌, 새로운 상상과 창조를 하면서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괴짜’를 키우는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다.

●‘메이커 교육 중장기 계획’ 발표

서울교육청은 시내 학교를 대상으로 드론과 로봇,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 등을 활용한 창작·교육활동을 하는 ‘서울형 메이커 교육(가칭 미래공방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메이커 교육은 학생들이 상상한 다양한 제품을 구체적으로 기획하고, 디지털 도구를 이용해 제작해 보면서 창의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프로젝트 교육이다. 서울교육청은 이 사업을 위해 내년 28억원을 투입하고 2022년까지 5년간 총 100억원을 들일 계획이다.

●“각 과목 수업과 연계해 교육 진행”

교육청은 각 과목 수업과 연계해 메이커 교육을 진행한다. 예컨대 ‘자동차 만들기’라는 주제를 놓고 과학 시간에는 ‘풍선 자동차’를 만들어 물체의 속력을 구하거나, 미술 시간엔 빨리 달릴 수 있는 자동차를 디자인한다. 국어 시간이라면 무인 자동차에 대해 토론하고, 실과 수업엔 자동차 이용 때 불편함을 줄일 상품을 만들 수 있다. 교육청 관계자는 “전체 수업의 10~15%를 메이커 교육과 연계할 방침”이라면서 “궁극적으로는 3D펜 등 첨단도구를 활용해 물건을 설계, 제작하는 게 목표지만 초등학교에서는 두꺼운 종이 등을 활용한 만들기 수업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고교 동아리 활동 때나 서울형 자유학기제 때 메이커 교육을 할 수도 있다.

●500곳에 3D프린터·3D펜 지원도

교육청은 내년부터 해마다 100곳씩 5년간 초·중·고등학교 500곳에 3D프린터와 3D펜을 지원한다. 또 첨단 디지털 기기를 싣은 ‘메이크 버스’, ‘메이크 트럭’도 마련해 연간 약 100개 학교를 방문할 계획이다.

현재 21곳에 있는 서울교육청 발명교육센터에는 드론과 로봇, IoT, VR, 증강현실(AR) 등과 연계한 메이커 교육을 하는 ‘서울형 메이커 스페이스 거점센터’를 구축한다. ‘메이커 스페이스 모델학교’도 2020년까지 27곳을 지정한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내년 도입되는 소프트웨어교육(코딩교육)과 메이커 교육을 연계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7-11-02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