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중 초미세먼지 기준 초과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중 초미세먼지 기준 초과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11-08 13:54
업데이트 2020-11-08 1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환경과학원 지난해 21종 측정 분석 결과
초미세먼지 연평도, 서울서 연평균 기준 초과

국가 간 영향을 미치는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중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백령도·수도권·제주도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 지난해 장거리 이동하는 대기오염물질 23종 중 국내외 환경기준이 설정된 21종을 분석한 결과, 초미세먼지를 제외한 20종이 대기환경 및 권고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8일 밝혔다.

초미세먼지 등 12종은 지난한 해 동안 측정한 값을, 벤젠 등 11종은 2019년 12월 한 달간 시범적으로 측정한 값을 분석했다. 백령도에서 측정한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40㎍/㎥이며, 초미세먼지는 20㎍/㎥였다. 수도권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는 각각 46㎍/㎥와 26㎍/㎥다. 국내 대기환경기준은 미세먼지 연간 50㎍/㎥ 이하, 초미세먼지는 15㎍/㎥ 이하다. 제주도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는 24㎍/㎥, 초미세먼지는 11㎍/㎥로 기준을 넘지 않았다.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 2019년 측정한 납 및 그 화합물 성분의 평균 농도도 국내 대기환경기준(500ng/㎥) 이하였다. 백령도는 15.95ng/㎥, 수도권은 18.62ng/㎥으로 나타났다. 백령도의 총가스상 수은 평균 농도는 1.7ng/㎥로, 수도권인 서울 은평 불광동(1.3 ng/㎥)보다 다소 높았으나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1000ng/㎥)보다 매우 낮았다.

다만 백령도에서 한 달간 측정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중 클로로포름(0.09ppb)과 염화비닐(0.14ppb) 농도는 캐나다 온타리오 준거치(0.04ppb·0.08ppb)보다 높아 지속적인 관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됐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