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릉숲서 멸종위기종 ‘수달’ 포착

광릉숲서 멸종위기종 ‘수달’ 포착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2-01-07 10:43
업데이트 2022-01-07 1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광릉숲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수달’의 활동 모습이 포착됐다.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광릉숲 봉천사천에서 지난 3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수달’의 활동 모습이 포착됐다. 산림청 국립수목원 제공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광릉숲 봉천사천에서 지난 3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수달’의 활동 모습이 포착됐다. 산림청 국립수목원 제공
7일 산림청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광릉숲 봉선사천에서 지난 3일 일몰 시간대 어린 수달 두 마리가 교량 아래와 하천 얼음 구멍 등에서 활동하는 모습이 영상에 담겼다. 족제비과 포유류인 수달은 하천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생태계 건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종이다. 광릉숲에도 수달이 목격되면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확인되지는 않았다. 그러다 최근 광릉숲 주변에서 수달이 주민들에게 목격되고, 지난해 8월 수달 사체가 발견되기도 했다.

수목원은 왕숙천에서 서식하던 수달이 친수시설 조성에 따른 수변 식생 제거와 야간 운동객 증가 등으로 인적이 드물고 은신처와 먹이가 풍부한 광릉숲으로 옮겨온 것으로 추정했다.

김재현 광릉숲보전센터장은 “봉선사천을 따라 조성된 광릉숲길 등이 수달의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관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승기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