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하면 웹서핑만 하는 김과장도… 혹시?

툭하면 웹서핑만 하는 김과장도… 혹시?

입력 2012-08-27 00:00
업데이트 2012-08-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터넷 중독 유형 5가지

흔히 ‘인터넷중독’을 단순히 인터넷을 지나치게 자주, 그리고 오래 사용하는 현상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인터넷중독을 한가지 유형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사람마다 인터넷의 용도가 다르며, 이에 따른 문제행동 및 임상적 증상도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이런 인터넷중독의 다양한 임상적 양상을 5개 유형으로 체계화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지현 건국대병원 정신과 교수팀은 최근 관련 학술지에 발표한 연구논문을 통해 인터넷중독에 따른 다양한 임상양상을 취합했다.

이에 따르면 인터넷중독의 대표적 증상으로는 ▲낮과 밤의 구분이 모호해진다 ▲학업과 업무 성과가 떨어진다 ▲일반적 대인관계가 줄어든다 ▲현실세계보다 가상현실 속 관계를 더 신뢰한다 ▲인터넷 사용시간을 허위로 말한다 ▲착시나 환시로 게임상황을 체험한다 ▲폭언과 공격적 행동이 많아진다 등이 꼽혔다.

하 교수는 이같은 증상을 토대로 인터넷의 용도에 따른 5가지 중독 유형을 제시했다. 하 교수는 “인터넷중독의 유형별 분류는 인터넷 사용시간보다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부적응 행동을 중심으로 중독 증상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중독 유형의 분류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면서 “인터넷중독을 평가할 때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우울증·강박증·사회공포증·학습장애 등의 1차적 원인질환 존재 가능성과 함께 대인관계, 가정 및 직장에서의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적 요소도 평가하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의료진이 제시한 5가지 인터넷중독 유형은 다음과 같다.

[웹서핑형] 의미 없는 웹서핑을 오랜 시간 계속한다. 웹의 특성을 이용해 필요없는 정보까지 검색하며, 여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유형이다. 이런 유형은 업무의 효율성 등이 문제행동으로 나타나기 쉽다.

[관계집착형] 인터넷의 동호회 활동, 미니홈피 등을 만들고 운영하는데 과도하게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이 때문에 대인관계의 중심이 현실세계에서 가상세계로 옮겨진 형태다. 현실세계에서 대인관계의 불안감이 높고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이 강하며, 낮은 자존감, 신체이미지의 왜곡 등의 특성을 보인다.

[게임형] 다양한 종류의 게임을 즐기며 이로 인해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유형이다. 특히 최근 다중접속 롤플레잉 게임이 대중화되면서 시간제한 없이 지속적으로 접속해 게임을 하고, 과다한 비용을 지불하고 관련 아이템을 구입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문제가 커지게 된다.

[정보수집형] 업무나 학업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파일을 내려받지만 지나치게 많은 양의 정보를 취합하고, 정보를 얻는 행위 자체에 몰두한 나머지 실제 일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다.

정보수집에 많은 시간을 빼앗겨 실제 업무효율은 떨어진다. 이를 깨닫고 조절하려 하지만 매번 실패하면서 고통을 겪는다. 강박적인 경향, 완벽주의적 성격과도 연관성이 크다.

[사이버 섹스형] 성적인 만족을 얻기 위해 가상공간에서 성적인 대화를 하거나 포르노 동영상을 감상하는 일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유형이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08-27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