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그 시절의 간질…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그 시절의 간질…

입력 2013-06-03 00:00
업데이트 2013-06-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심재억 전문기자
심재억 전문기자
초등학교 때였다. 월요일 아침이면 전교생이 운동장에 도열해 교장 선생님의 훈시를 들었다. 항상 그 말이 그 말이었고, 장광설에 몸이 뒤틀릴 만 하면 “이상” 하는 반가운 맺음말이 들렸다. 땡볕 아래서 부동자세로 버티자니 이마에 진득한 땀이 배어나 좋이 한나절은 벌을 선 듯한 느낌이었다. 훈시에 이어 당번 선생님의 이런 저런 지시가 끝나면 줄지어 교실로 들어가야 했다. 우리 반이 ‘헛둘! 헛둘!’ 구령에 맞춰 막 움직이려는데 뒤쪽에서 한 여자아이가 털썩 나동그라졌다. 배를 주리고 살아 너나없이 영양실조이거나 영양 상태가 극악해 걸핏하면 픽, 픽 나자빠지던 시절이어서 다들 “더위 먹었나 보다” 하고 웅성거렸고, 상황을 알아챈 선생님이 득달같이 달려와 볼을 감싸 쥐고 아이의 이름을 불러댔다.

입가에 거품을 물고 쓰러진 아이는 두 눈을 까뒤집고 온몸을 덜덜 떨어댔다. 아이들이 몰려들어 진을 친 가운데 선생님이 이마를 짚는다, 이름을 부른다 했지만 헛일이었다. 도리없이 둘러업고 양호실로 뛰었다. 양호실이라야 교무실 한쪽 나무 침대에 카키색 군용 담요 한장 덮어 놓은 게 전부였지만 서늘해 땀은 식힐 만했을 터인데, 그 뒤로는 그 아이 얘기를 듣지 못했다. 교실로 돌아와서야 한 마을에 사는 아이로부터 “간질병인데 치료도 안 된다더라”는 말을 들었고, 그게 무슨 병인 줄도 몰라 막연하게 ‘실성’ 같은 말을 떠올렸을 뿐이었다.

그 아이를 다시 본 것은 며칠 뒤였다. 운동장을 가로질러 가는 아이의 얼굴이 파리했다. 몇 걸음 떼다 돌아보니 수수깡으로 짜 맞춘 듯 부실해 뵈는 어깻죽지가 금방 무너져 내릴 것만 같았다. 그 후 그를 까맣게 잊고 살았는데 지금 생각하면 그 아이도 다른 간질환자들처럼 세상의 강고한 편견에 짓눌려 피지도 못하고 스러졌을 것이다. 그 시절의 그에게 간질은 가혹한 운명, 무거운 천형이었을 것이다. 어떤 병도 세상의 수준을 뛰어넘어 치료할 수 없는 일이니, 그 시절의 인지 수준만큼 그는 몸을 앓고 또 마음을 앓았을 것이다. 지금이라면 말갛게 씻어 헹군 듯 고칠 병이었지만 그땐 세상이 그러지 못했으니.

jeshim@seoul.co.kr



2013-06-03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