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지덕지 선크림 원인 불명 불임 유발”

“덕지덕지 선크림 원인 불명 불임 유발”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6-04-03 22:52
업데이트 2016-04-03 2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외선 차단제, 생식세포 활동 저해

“출산 영향까지 광범위하게 살펴봐야”

피부 노화를 막기 위한 ‘선크림’, ‘선블록’ 등 자외선 차단제가 생식세포의 활동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펜하겐대 의대 교수팀 연구결과 발표

덴마크 코펜하겐대 의과대학 닐스 스탁케백 교수팀은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 중 일부가 피부 속으로 흡수돼 인체 생식세포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달 1~4일 미국 보스턴에서 진행되는 ‘미국 내분비학회(ENDO) 2016’ 행사에서 발표됐다. 내분비학은 호르몬과 그 기능을 연구하는 생리학 분야로, 올해로 설립 100주년이 된 ENDO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의학 분야 학술단체 중 하나다.

연구진은 미국과 유럽에서 팔리고 있는 37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해 정자와 난자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정자와 난자를 착상 때와 비슷한 환경에 놓아둔 뒤 수정 과정을 관찰하는 실험도 함께 했다.

●“정자 활동 위축… 난자와의 수정 방해”

그 결과 37개 자외선 차단제 중 17개가 남성의 정자세포와 여성의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에 직접적으로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외선 차단제에 포함된 ‘4MBC’, ‘3BC’, ‘BP3’, ‘OD-PABA’, ‘HMS’ 등 화학물질이 생식세포에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물질들은 정자세포의 칼슘(Ca)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활동성을 약화시켜 난자와의 수정을 어렵게 만든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스탁케백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늘고 있는 원인 불명의 불임 현상에 대한 중요한 해답이 될 수 있다”며 “자외선 차단제를 생산하는 업체는 물론 품질규제 기관에서도 앞으로는 자외선 차단 성능뿐만 아니라 출산에 미치는 영향까지 광범위하게 살펴보길 제안한다”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6-04-04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