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낙인·고립·건강 불평등 문제 심화

확진자 낙인·고립·건강 불평등 문제 심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11-05 23:50
업데이트 2020-11-06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낙인 두려움’ 넉 달 새 10%P 올라 67.8%
감염 차단에 개인·사회 회복에도 힘써야

코로나19 확진 및 낙인 두려움
코로나19 확진 및 낙인 두려움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면서 확진자에 대한 낙인, 돌봄 공백, 고립, 경제력에 따른 건강불평등 등 사회적 문제가 심화하고 있다. 지난 1월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정부는 바이러스 확산세를 잡는 데 주력했으나 이제는 개인과 사회의 회복력 강화에 무게를 실어야 할 때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이 지난 10월 27~29일 국민 1000명을 조사해 5일 발표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자’라는 낙인 찍기에 대한 두려움이 67.8%로, 지난 6월 조사(58.1%) 때보다 10% 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유 교수는 “한국 사회가 코로나19 위기에서 극복해야 할 상대가 바이러스만이 아님을 보여 주는 중요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낙인 찍기는 피해자를 가해자로 만들어 개인을 고립시키고 공동체를 무너뜨린다. 연대와 지지 없이는 적어도 내년 하반기까지 지속될 코로나19 정국을 이겨 나갈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고립의 상처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어려울 때 경제적 도움을 받을 사람이 없다는 응답이 31.5%로 가장 많았고 ‘생업·가사·육아 등 도움을 청할 사람이 없다’(26.5%), ‘조언을 듣거나 기댈 사람이 없다’(14.3%), ‘마음을 나눌 사람이 없다’(7.2%)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직업군이 전업주부라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업주부의 스트레스 지수는 3.71점으로, 전체 평균(3.53점)보다 높았다. 주요 원인은 돌봄 공백이다. 류형림 한국여성민우회 활동가는 돌봄 위기를 겪은 89명의 여성을 인터뷰한 결과 “코로나19 확산 이전 40%였던 여성의 돌봄 부담률이 확산 이후에는 평균 70%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인터뷰에서 한 여성은 “(남편과의) 돌봄 분담은 없다. 가끔 미쳐버릴 것 같은 답답함이 있다”고 호소했다.

‘코로나19는 누구에게나 평등한 재앙’이라는 통념도 깨지고 있다. 설문 응답자들은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61.5%), ‘바이러스 노출 시 감염 취약성’(60.4%), ‘감염 시 치료 접근성이나 수준’(61.1%) 모두 각자가 처한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난다고 봤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11-06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