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국정원 방송장악 공모’ 김우룡 방문진 前이사장 소환

검찰, ‘국정원 방송장악 공모’ 김우룡 방문진 前이사장 소환

김지수 기자
입력 2017-10-31 14:43
업데이트 2017-10-31 15: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택 압수수색·오후 출석…2010년 ‘김재철 조인트 발언’ 당사자

‘국정원 공모·관여’ 혐의 관련…檢, 방문진 이사들도 최근 조사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공작을 벌였다는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김우룡 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의 관여 정황을 포착해 수사에 나섰다.
김우룡 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김우룡 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팀장 박찬호 2차장검사)은 31일 오전 김 전 이사장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한 데 이어 낮 12시 30분께 김 전 이사장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국정원이 MBC의 주요 경영진을 교체하고 정부에 비판적인 기자·PD 등과 출연자들을 퇴출시키거나 업무에서 배제한 ‘공영방송 장악’ 공작 과정에 MBC의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가 공모·관여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가 조사한 결과 원세훈 전 원장 취임 이후인 2010년 2∼3월 국정원이 작성한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 문건에는 “방문진 차원에서 철저한 관리감독으로 방만경영 및 공정보도 견제활동을 강화, 스스로 민·공영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압박”한다는 전략이 포함돼 있다.

MBC PD 출신으로 대학 교수를 지낸 김 전 이사장은 2009∼2010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을 지냈다.

그는 2010년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김재철 MBC 사장이 큰 집에 불려가 조인트를 맞고 깨진 뒤 (사내) 좌파를 정리했다’는 요지로 발언해 물의를 빚은 바 있다.

최근 MBC 노조는 “김재철 전 사장 취임 후 임원 인사에서 국정원 기획에 따라 모든 관계사 사장의 사표를 요구하고 28곳 중 22곳의 사장이 교체됐다”며 “당시 방문진 이사장이 ‘MBC 논설위원이 이상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다닌다는 소문이 들린 후 이것이 문건에 반영돼 논설실장이 특집 TF로 발령 났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검찰은 30일 방문진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당시 MBC 경영진의 교체 경위 등과 연관된 각종 문서와 전산자료 등을 확보했다.

또 최근에는 해당 업무와 관련한 방문진 이사들도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전 이사장을 상대로 MBC의 인사에 관여한 일이 있는지, 이 과정에서 국정원과 공모했는지 등을 캐물을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