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조력’ 등 새 의혹 제기
“수원여객 횡령 사건서도 영장기각 청탁”구체적 설명 없어… 진위 검증 필요할 듯
검사들에게 술접대를 했다고 폭로한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지난 21일 ‘도피 당시 검찰의 조력을 받았다’는 등의 새로운 내용이 포함된 추가 14장 분량의 옥중 입장문을 공개했다. 2020.10.21
김봉현 전 회장 변호인 제공·연합뉴스
김봉현 전 회장 변호인 제공·연합뉴스
김 전 회장은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의 최초 도피 당시부터 검찰 관계자들이 도피 방법 등을 알려주는 등 도움을 줬다”면서 “검찰 수사팀의 추적 방법, 휴대전화 사용 방법 등을 알려주며 도주를 권유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당시 검찰 관계자들이 ‘일도이부삼빽’과 같은 은어를 써 가면서 도주를 권했다는 말도 덧붙였다. ‘일도’는 ‘1번 도망가고’, ‘이부’는 ‘2번 부인하고’, ‘삼빽’은 ‘3번 빽쓰고’ 라는 뜻이다.
이 전 부사장은 라임의 투자 대상 상장사인 리드의 수백억원대 횡령에 가담한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되자 지난해 11월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하루 앞두고 잠적했다. 김 전 회장도 수원여객 횡령 혐의로 지난해 12월 구속영장이 청구되자 도주했다.
이들은 함께 도피 행각을 벌이면서 대포폰 수십 개를 돌려 쓰고 서울 강남 인근 호텔 여러 곳을 돌아다니면서 5~6개월간 경찰 수사망을 피했다. 특히 김 전 회장은 택시를 여러 차례 갈아타며 이동하는 방법으로 추적을 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회장과 이 전 부사장은 지난 4월 서울 성북구 인근의 한 빌라에서 경찰에 함께 붙잡혔다. 김 전 회장의 주장대로라면 이들의 치밀한 도피 방법을 검찰이 조언했다는 것이 된다. 다만 검찰의 조력을 받았다는 표현만 있을 뿐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하다. 또한 ‘일도이부삼빽’은 검경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김 전 회장의 진술을 곧이곧대로 믿기에는 여전히 석연찮다는 뜻이다.
윤 부원장은 이에 대해 앞서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경찰이 영장을 신청했을 당시 영장을 반려하거나 기각하지 않고 바로 법원에 영장을 청구했다”면서 “그가 로비스트에게 돈을 줬는지는 모르겠지만, 나에게는 담당 검사의 수사보고 외에는 김 회장과 관련한 어떠한 연락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사기꾼의 거짓말이거나 로비스트에게 돈을 줬다면 실패한 로비”라고 반박했다.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2020-10-2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