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세계 강 유역 3분의1, 물 부족 심각 [과학계는 지금]

2050년 세계 강 유역 3분의1, 물 부족 심각 [과학계는 지금]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2-08 02:42
업데이트 2024-02-08 14: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우크라이나 키이우 호에 부영양화로 인해 발생한 녹조현상. 2050년이 되면 온난화와 각종 오염물질로 전 세계 3분의1 강 유역이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릴 것이라고 예측됐다.   네덜란드 바헤닝언대 제공
우크라이나 키이우 호에 부영양화로 인해 발생한 녹조현상. 2050년이 되면 온난화와 각종 오염물질로 전 세계 3분의1 강 유역이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릴 것이라고 예측됐다.

네덜란드 바헤닝언대 제공
네덜란드 바헤닝언대, 위트레흐트대, 독일 라이프니츠 기후 영향 연구소(PIK), 훔볼트대 농업·원예과학 연구소, 헬름홀츠 환경연구센터 공동 연구팀은 2050년에는 전 세계 3분의1 이상 강 유역이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릴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중국 남부, 중부 유럽, 북미, 아프리카 지역이 심각한 가뭄에 시달릴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 결과는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월 7일자에 실렸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 도시 확대, 농지 확장 등으로 물 수요가 늘고 오염도 심각해지면서 안전한 식수원 확보가 시급하다.

이에 연구팀은 주요 식수원이면서 각종 경제 활동이 이뤄지는 장소인 전 세계 강 유역을 분석한 결과 기온 상승과 각종 오염 물질로 인해 물 부족으로 분류되는 강 유역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기준으로 수량 부족 유역은 984곳, 수량이 부족하고 수질 상태도 좋지 않은 곳은 2571곳이었다. 그런데 2050년에는 3061개 유역이 수량과 수질이 모두 최악의 상태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렇게 되면 30억명의 인구가 안정적 수자원 공급에 위협을 받게 된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2024-02-08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