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죽자고 한 스퀴즈, SK 살렸다

[프로야구] 죽자고 한 스퀴즈, SK 살렸다

입력 2012-08-24 00:00
업데이트 2012-08-24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K 헐크 vs 한화 해결사, 끝내준 22일 경기 되짚어 보니…

프로야구 한화 한대화 감독과 SK 이만수 감독은 현역 시절 호남과 영남을 대표하는 강타자였다. 한 감독은 해태(KIA 전신) 등에서 ‘해결사’로 활약했고, 이 감독은 삼성에서만 16년을 뛰며 홈런 252개(통산 10위)를 쳤다. 그러나 두 감독은 지난 22일 문학 경기 연장 벼랑 끝 찬스에서 강공이 아닌 스퀴즈 번트를 시도했고, 희비가 극명하게 갈렸다.

한화는 11회초 1사 3루에서 대타 이여상이 번트를 댔지만 파울이 됐다. 3루 주자 김경언의 스타트가 워낙 좋아 그라운드 안으로만 공이 들어왔어도 점수를 낼 수 있었던 상황. 볼 카운트가 불리해진 이여상은 삼진으로 물러났고, 다음 타자 오선진도 범타로 물러나며 이닝이 끝났다.

SK도 11회말 무사 만루의 찬스를 잡았지만 대타 조인성이 내야 플라이로 물러나며 찬물을 끼얹었다. 더그아웃과 관중석 모두 머릿속에 병살타를 그리는 순간, 다음 타자 정근우는 절묘한 스퀴즈를 성공시키며 경기를 끝냈다. 올 시즌 처음이자 역대 23번째 끝내기 스퀴즈였다. 정근우의 스퀴즈는 3루 주자가 먼저 스타트하고 타자는 무조건 번트를 대는 ‘수이사이드’(suicide·자살) 스퀴즈였다. 이 감독의 지시가 없이는 불가능한 작전이다.

1사 3루와 1사 만루에서는 안타가 없더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점수가 난다. 외야 희생 뜬공과 볼넷(사구 포함) 외에도 폭투와 패스트볼이 있다. SK는 정근우의 걸음이 워낙 빨라 병살타 우려가 적었다.

그런데도 두 감독이 리스크가 작지 않은 스퀴즈를 시도한 이유는 뭘까. 한 감독은 상대의 허를 찔렀다고 볼 수 있다. SK 내야진은 압박수비를 펼치고 있었고 타자는 감독이 믿고 내보낸 대타였다. 이여상은 최근 5경기 타율이 .389(18타수 7안타)일 정도로 타격감이 괜찮았다. 누구도 스퀴즈를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반면 이 감독은 정근우의 작전 수행력을 믿었다. 올 시즌 정근우는 타율이 .255에 그치며 이름값에 걸맞은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그러나 야구 센스만큼은 여전히 국내 최고였고, 이 감독은 수이사이드 스퀴즈를 선택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8-24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