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광주유니버시아드대회] 혼자 온 아이티 ‘태권왕’… 가족처럼 챙겨 준 봉사자

[2015 광주유니버시아드대회] 혼자 온 아이티 ‘태권왕’… 가족처럼 챙겨 준 봉사자

임병선 기자
입력 2015-07-10 23:46
업데이트 2015-07-11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수 불편 해결하는 ‘아타셰’ 500여명…대학생 신수연씨 “고생해도 보람 커요”

“인천공항에서 헤어질 때 어떨지 모르겠어요. 아마 울컥하겠죠?”
이미지 확대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에 참가한 146개국 가운데 가장 가난한 나라로 손꼽히는 아이티는 당초 11명의 선수단을 꾸릴 예정이었으나 태권도 대표인 마르캉송 알티도르(오른쪽·25) 혼자만 참가했다. 개막 후 사흘 동안 미국 대표단을 돌보다가 아이티를 맡아 폐막 때까지 모든 것을 하나하나 챙겨주고 있는 ‘아타셰’ 신수연(왼쪽·23)씨는 10일 광주 남구 송하동 송원초등학교 방송실에서 알티도르의 교내 방송을 우리말로 옮기고 있었다.

알티도르는 오전 태권도 남자 58㎏급 예선에서 탈락한 뒤 곧바로 이 학교로 이동, 자신이 어려운 여건에서도 운동에 열중하는 이유를 설명한 뒤 아이들에게 우리말 구령을 써가며 간단한 태권도 교습을 했다.

현재 신씨처럼 대회 성공을 위해 땀을 흘리는 아타셰는 대략 500명. 신씨는 단국대 경영학과 4학년에 재학 중으로 아무 연고도 없는 광주에 내려와 열흘 넘게 호남신학대 기숙사에 머무르며 각국 선수나 대표단의 불편한 사항들을 앞장서 해결하고 있다. “부모님 반대가 심했어요. 대회 개막을 3주 앞두고 월급도 나오는 단기직에 합격했는데 그걸 마다하고 고생을 사서 하느냐는 것이었지요.”

매일 아침 일찍 숙소를 나와 경기장이나 훈련장, 행사장에 가는 선수 돌보는 일이 간단치 않단다. 알티도르 혼자지만 당초 오기로 했던 11명만큼이나 일정이 많다고 했다. 신씨는 “알티도르가 선수촌에 입촌한 첫날부터 11명이 묵기로 했던 숙소가 휑하다며 문자를 보내 왔더라고요. 가슴이 찡했어요. 저보다 두 살 많지만 몸집도 작아 말수 적은 남동생처럼 느껴져요”라고 말하며 알티도르의 어깨를 감싸 안았다. 신씨는 열흘 동안 아타셰 일을 해 보고서 진로 변경까지 고려하고 있다. 이제는 스포츠 매니지먼트 일을 해 보고 싶다고 했다.

글 사진 광주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5-07-11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