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판보다 실력… 다음 시즌엔 100% 보여드립니다”
“대학 후배와 친구로부터 휴대전화 메시지가 200개나 왔어요.” 정성우(23·LG)는 지금 생각해도 믿을 수 없다는 표정으로 자신이 신인 선수상 수상자로 호명되던 때를 떠올렸다. 그는 지난달 22일 있었던 2015~16 프로농구 정규시즌 시상식에서 상명대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신인 선수상을 수상했다. 상명대는 2009년에 창단돼 역사가 아직 길지 않고 프로무대에서 뛰고 있는 상명대 출신 선수도 아직 10명이 채 안 된다. ‘농구 흙수저’인 정성우가 농구 명문대 출신 선수들을 제치고 평생에 단 한 번뿐인 신인 선수상을 차지한 것이다.2015~16 프로농구 정규시즌에서 신인 선수상을 수상한 정성우가 농구공을 들어 보이고 있다.
LG 제공
LG 제공
정규리그가 끝나고 휴식기에 접어들었지만 그는 지난달 26일 경기 서수원칠보체육관을 찾아 MBC전국대학농구대회에 출전한 후배 선수들의 경기를 지켜봤다. ‘농구 변방’인 상명대에서 선후배들과 어렵게 운동을 했기 때문인지 그의 학교 사랑은 남달랐다. 정규시즌을 마치고 휴식기인 요즘 아무 생각 없이 푹 쉬고 싶기도 할 텐데 그는 지난달 25일 충남 천안시에 있는 모교를 방문해 후배 선수들과 하룻밤을 보낸 뒤 이날 경기장을 찾은 것이다. 졸업을 했음에도 상명대 선수들이 이야기를 나누는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에도 수시로 들어가 잡담을 나누기도 한다. 이날 한 시간가량 진행된 인터뷰 도중 그는 주변을 지나가는 후배 선수 부모님들과 수차례 인사를 나누며 상명대 팀에 대한 친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지난달 26일 상명대 후배들을 응원하기 위해 서수원칠보체육관을 찾은 정성우가 관중석에서 후배들의 경기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상명대 진학 뒤에도 한동안 힘든 시기를 보냈다고 한다. 그는 “1학년 때까지는 적응이 안 됐다. 고등학교(용산고) 때는 거의 모든 경기를 다 이기는 팀에 속했다가 갑자기 대부분의 게임을 지는 팀에 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상명대는 정성우가 대학에 입학하던 해인 2012년 대학리그에서 3승19패로 12개 학교 중 11위에 머물렀다.
정성우
그는 역대 상명대 출신으로는 가장 높은 신인 드래프트 6순위로 LG에 입단하고, 신인왕까지 거머쥐며 잊을 수 없는 시즌을 보냈다. 하지만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다. 이번 시즌 프로농구는 확실한 활약을 보여준 신인 선수가 거의 없어 ‘올해는 신인 선수상을 안 뽑고 건너뛰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까지 나왔었다. 이런 평가 속에 상을 받은 정성우도 수상에만 만족할 것이 아니라 앞으로 더욱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스스로 적응을 잘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대학교와 프로의 차이가 너무 컸다. 중간에 입단해 이미 짜인 틀 안에 들어가기가 너무 힘들었다”며 “대학교 때 보여준 실력을 100% 다 발휘한 신인 선수가 없었다. 팀에 좀더 적응을 해서 다음 시즌에는 100%를 끌어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루키들이 너무 못한다는 소리를 들었을 때 동료 신인 선수들이 상처를 받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아니다. 이번 시즌 신인들의 수준이 다른 때보다 낮다는 것을 저희들도 알고 있었다. 어차피 별달리 받을 사람이 없으면 내가 받았으면 좋겠다고 서로 농담하며 넘겼다”고 웃어 보였다.
그는 다사다난했던 데뷔 시즌을 끝마치고 팀의 훈련이 다시 시작되는 3월 말까지 휴식기를 갖고 있다. 쉬는 시간을 어떻게 보낼 거냐고 묻자 “여자친구나 대학 애들을 많이 만날 계획”이라며 “사실 평소 쉴 때는 맛집을 즐겨 찾아다니는데 고기랑 면을 좋아한다. 이 둘을 같이 먹을 수 있는 육쌈냉면이 최고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아예 놀고만 있을 수는 없으니 집 근처 헬스장에서 웨이트트레이닝도 하고, 대학교 후배들과 운동도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의 포부를 묻는 질문에는 갑자기 눈을 반짝였다. 그는 “아무래도 이번 시즌 팀의 성적이 8위로 좋았다고 할 수는 없는데, 새 시즌에는 저도 잘하고 팀도 잘했으면 좋겠다”며 “또 다음 시즌 말쯤에 저의 롤모델인 김시래(27·LG) 선배가 돌아오면 어깨너머로 저의 부족한 점을 많이 배우고 연구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어떤 선수가 되고 싶냐는 물음에는 “농구팬들에게 정성우라는 이름을 말하면 ‘아, 그 선수 농구 잘하지’라는 대답이 되돌아올 수 있는 그런 선수가 되고 싶다”고 답했다.
항상 수줍게 웃는 표정을 짓다가도 농구 이야기만 나오면 진지해지는 정성우. 대학 이름과 상관없이 농구 실력 하나만큼은 뛰어난 선수로 평가받을 날이 머지않은 것 같다.
글 사진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정성우는 ▲1993년 8월 17일 서울 출생 ▲대방초-대경중-용산고-상명대 ▲178㎝, 79㎏ ▲2014 대학농구리그 어시스트상 ▲2015 대학농구리그 어시스트상·스틸상 ▲2016 프로농구 정규리그 신인선수상
2016-03-1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