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지 기자의 런던 eye] 솔직한 공간 ‘믹스트존’ 선수들 눈물과 환희 속 말로 못한 찡한 감동들

[조은지 기자의 런던 eye] 솔직한 공간 ‘믹스트존’ 선수들 눈물과 환희 속 말로 못한 찡한 감동들

입력 2012-08-02 00:00
업데이트 2012-08-02 0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종료 버저가 울리면 종종거리며 뛰어간다. 자리를 잡고 서 있으면 채 숨을 고르기도 전인, 여전히 땀이 송글송글 맺혀 있는 선수가 걸어 나온다. 기자와 선수가 만나는 곳, 믹스트존(공동취재구역)이다. 경기를 마친 선수라면 누구나 여길 지나가게 돼 있다. 꾸밈없는 자리, 싱싱하고 생생한 날모습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지난 4년간의 피와 땀이 오롯이 응축돼 있는, 성공과 실패가 확연하게 갈리는, 놀랍도록 잔인한 순간이기도 하다. 스포츠기자로 가장 뜨거운 나날을 보내는 요즘, 나는 웃거나 우는 선수들을 날마다 만난다.

●숨길 수 없는 싱싱하고 생생한 모습

일단 메달이 있으면 기자도 신바람이 난다. 질문과 대답이 ‘스타카토’처럼 경쾌하게 이어진다. 그 어떤 배우도 연기할 수 없는 궁극의 기쁨이 심장으로 전해진다. 간절히 원하던 걸 이뤄낸 사람의 환희와 성취감이 믹스트존 공기까지 싱그럽게 만든다. 촌스러울수록, 조금 엉뚱할수록 더 매력적이다. 이를테면 유도 조준호(한국마사회)가 “빨리 선수촌 가서 라면을 먹고 싶다. 감량 때문에 그 맛있는 걸 한 달을 못 먹었다.”는 말. 울 것 같은 표정이던 양궁 김법민(배재대)이 단체전 동메달에 실망한 게 아니라 “(기자분들이) 낯설고 쑥스러워서 그렇다. 지금 엄청 기쁘다.”고 얼굴이 빨개졌던 것도.

●원하는 성적 못 낼땐 “불러도 대답 없는 너”

때로는 서글프다. 선수의 한마디를 들어야 하는 ‘숙명’ 때문에. 원하던 성적을 거두지 못해 축 처진 선수에게 말을 거는 건 기자에게도 고역이다. 선수는 고개를 푹 숙인 채 발만 보고 걷는다. 불러도 답이 없다. 더러는 눈물도 떨군다. 기자와 함께 소주 10병은 족히 기울였을 가까운(!) 감독도 말이 없긴 마찬가지. 차가운 바람만 휑하니 지나간다. 야속할 때도 있지만, 믹스트존은 감정을 추스르고 의연한 척하기엔 너무 가깝고 솔직한 공간이란 걸 안다.

기자는 2010년 밴쿠버 겨울올림픽에 이어 두 번째로 올림픽에 왔다. 이 대회가 선수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이제 잘 알겠다. 국민이 숨죽여 지켜보는, 부와 명예를 한 번에 얻을 수 있는, 선수로서 최고의 무대라는 걸. ‘1등만 기억하진 말자.’는 얘기를 하고 싶은 건 아니다. 그저 선수들의 진한 눈물과 깊은 한숨 앞에서 매일매일 숙연해진다는 얘기다. 펑펑 눈물을 쏟을 만큼 뭔가에 매진한 적이 언제였지, 뭐 그런 생각들. 기자는 오늘도 믹스트존, 그 환희와 눈물 사이에 서 있다.

zone4@seoul.co.kr

2012-08-02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