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조강국 주역들

체조강국 주역들

입력 2012-08-08 00:00
업데이트 2012-08-08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체조가 올림픽 금메달에 근접했던 때가 딱 두 번 있었다. 모두 도마 종목이었다. 지난 1992년 바르셀로나, 4년 뒤 애틀랜타올림픽에서였다. 유옥렬(39) 현 대표팀 코치와 여홍철(41) 경희대 교수가 그들로, 체조 대표팀이 1960년 로마올림픽에 첫 출전한 이래 30년 넘도록 따보지 못한 금메달의 턱밑까지 다다랐다. 둘은 우리말로 ‘뜀틀’로 불리던 도마 종목의 달인들이었다.

그러나 유옥렬은 체조에서만 6개의 금메달을 딴 비탈리 셰르보(독립국가연합)에 밀려 동메달에 머물렀고, ‘여1’ ‘여2’라는 신기술을 장착하며 ‘착지 때 세 발자국만 물러나도 금메달은 떼어놓은 당상’이란 평가를 받았던 여홍철은 정작 결선에서 착지 자세가 흐트러지면서 은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이들이 울 때 아버지 뻘인 조성동(65) 대표팀 감독도 함께 울었다.

그 뒤 서울체고로 돌아가 어린 선수들을 키운 지 15년. ‘올드보이’ 조 감독은 2010년 대한체조협회의 요청을 받고 다시 태릉선수촌에 들어왔다. 금메달 전략 종목을 평행봉에서 도마로 바꾼 협회로서는 20년 이상 태릉선수촌 밥을 먹은 베테랑이 필요했던 것이다. 즉각 유망주 발굴에 나선 조 감독은 광주체고 2학년이던 양학선을 곧바로 성인대표팀에 발탁하고 올림픽 금메달 후보로 육성했다.

그해 처음 참가한 세계선수권 4위의 성적으로 세계무대에 이름 석 자를 알린 양학선은 그 뒤 거칠 것이 없었다. 광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에 이어 지난해 난도 7.4점짜리 기술인 ‘양학선’을 앞세워 세계선수권 시상대도 점령했다. 이미 아시아엔 맞수가 없었다. 조 감독은 세계선수권대회와 지난 5월 프랑스 몽펠리에에서 열린 유럽선수권대회를 참관하면서 양학선의 경쟁자들을 면밀히 분석했다. 혹독한 훈련과 실전 같은 평가전으로 양학선을 담금질했다.

그 밖에도 숨은 주역들은 많다. 2년에 걸친 대한체조협회의 직·간접적인 투자는 물론, 2004년 아테네대회에서 명백한 0.2점의 가산점이 절반으로 깎이는 바람에 눈 뜨고 금메달을 도둑맞은 양태영(32·포스코건설)도 그중의 한명. 국제체조연맹(FIG)은 이 사건 이후 10점 만점 제도를 폐지하고 상한선이 없는 새로운 점수 체계를 발표했다. 양학선의 무궁무진한 기술이 뻗어나갈 수 있는 발판이 다져진 셈이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2012-08-08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