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조강국 주역들

체조강국 주역들

입력 2012-08-08 00:00
업데이트 2012-08-08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체조가 올림픽 금메달에 근접했던 때가 딱 두 번 있었다. 모두 도마 종목이었다. 지난 1992년 바르셀로나, 4년 뒤 애틀랜타올림픽에서였다. 유옥렬(39) 현 대표팀 코치와 여홍철(41) 경희대 교수가 그들로, 체조 대표팀이 1960년 로마올림픽에 첫 출전한 이래 30년 넘도록 따보지 못한 금메달의 턱밑까지 다다랐다. 둘은 우리말로 ‘뜀틀’로 불리던 도마 종목의 달인들이었다.

그러나 유옥렬은 체조에서만 6개의 금메달을 딴 비탈리 셰르보(독립국가연합)에 밀려 동메달에 머물렀고, ‘여1’ ‘여2’라는 신기술을 장착하며 ‘착지 때 세 발자국만 물러나도 금메달은 떼어놓은 당상’이란 평가를 받았던 여홍철은 정작 결선에서 착지 자세가 흐트러지면서 은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이들이 울 때 아버지 뻘인 조성동(65) 대표팀 감독도 함께 울었다.

그 뒤 서울체고로 돌아가 어린 선수들을 키운 지 15년. ‘올드보이’ 조 감독은 2010년 대한체조협회의 요청을 받고 다시 태릉선수촌에 들어왔다. 금메달 전략 종목을 평행봉에서 도마로 바꾼 협회로서는 20년 이상 태릉선수촌 밥을 먹은 베테랑이 필요했던 것이다. 즉각 유망주 발굴에 나선 조 감독은 광주체고 2학년이던 양학선을 곧바로 성인대표팀에 발탁하고 올림픽 금메달 후보로 육성했다.

그해 처음 참가한 세계선수권 4위의 성적으로 세계무대에 이름 석 자를 알린 양학선은 그 뒤 거칠 것이 없었다. 광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에 이어 지난해 난도 7.4점짜리 기술인 ‘양학선’을 앞세워 세계선수권 시상대도 점령했다. 이미 아시아엔 맞수가 없었다. 조 감독은 세계선수권대회와 지난 5월 프랑스 몽펠리에에서 열린 유럽선수권대회를 참관하면서 양학선의 경쟁자들을 면밀히 분석했다. 혹독한 훈련과 실전 같은 평가전으로 양학선을 담금질했다.

그 밖에도 숨은 주역들은 많다. 2년에 걸친 대한체조협회의 직·간접적인 투자는 물론, 2004년 아테네대회에서 명백한 0.2점의 가산점이 절반으로 깎이는 바람에 눈 뜨고 금메달을 도둑맞은 양태영(32·포스코건설)도 그중의 한명. 국제체조연맹(FIG)은 이 사건 이후 10점 만점 제도를 폐지하고 상한선이 없는 새로운 점수 체계를 발표했다. 양학선의 무궁무진한 기술이 뻗어나갈 수 있는 발판이 다져진 셈이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2012-08-08 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