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중계권 3000억 시대… 실력·팬서비스로 보답해야 산다

프로야구 중계권 3000억 시대… 실력·팬서비스로 보답해야 산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0-02-04 22:38
업데이트 2020-02-05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준 낮은 경기에 관중 급감 ‘직격탄’

잊을 만하면 음주운전·폭행사건 물의
KBO·구단, 논란 선수 강력 징계해야
도쿄올림픽 성적도 흥행 분수령될 듯
이미지 확대
지난해 10월 인천 SK행복드림구장에서 SK 와이번스와 키움 히어로즈의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2차전이 열리고 있는 가운데 상단 관중석이 썰렁하게 비어 있다. 국내 프로야구는 지난 3일 국내 프로스포츠 사상 처음으로 중계권료 3000억원 시대를 열었지만 한편으로는 위기를 맞고 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서울신문 DB
지난해 10월 인천 SK행복드림구장에서 SK 와이번스와 키움 히어로즈의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2차전이 열리고 있는 가운데 상단 관중석이 썰렁하게 비어 있다. 국내 프로야구는 지난 3일 국내 프로스포츠 사상 처음으로 중계권료 3000억원 시대를 열었지만 한편으로는 위기를 맞고 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서울신문 DB
프로야구가 국내 프로스포츠 사상 처음으로 중계권료 3000억원 시대를 열었다. 인기 스포츠만이 세울 수 있는 이정표이지만 안팎에서 ‘위기설’이 대두되는 프로야구로서는 제값을 해야 하는 시험대에 직면했다. 산적한 과제들을 해결하지 못하면 더이상 성장하기 어렵다는 어두운 전망도 나온다.

2016년부터 800만명을 넘은 프로야구 관중수는 지난해 직격탄을 맞고 800만명 선이 깨지며 관중 728만명을 기록했다. 프로가 맞나 싶을 정도의 경기력이 연일 도마에 올랐고, 시즌 초반부터 일찌감치 고착화된 5강 경쟁은 흥행에 찬물을 끼얹었다. 경기력 향상과 팀간 전력 불균형 해소는 10개 구단 모두가 고민해야 할 과제다. 류현진, 추신수, 최지만에 이어 김광현까지 가세한 미국 메이저리그의 수준 높은 경기를 보는 야구 팬들의 눈높이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경기장으로 팬들을 이끌기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정후, 강백호 등 새 얼굴이 몇몇 등장하긴 했지만 리그 전체적으로 새로운 흥행 카드가 부재한 점도 과제다. 경기 외적으로 반복되는 음주운전, 폭행 사건이나 몸값 거품 논란도 고질병이 된 지 오래다. 불친절한 팬 서비스는 번번이 개선점으로 지적된다. 메이저리그가 공정성 확보를 위해 로봇 심판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인 가운데 경기 흐름을 좌우하는 오심 논란을 줄이는 것도 주요 과제다.

물론 한국야구위원회(KBO)와 각 구단, 선수들이 팔짱만 끼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물의를 일으킨 선수들에겐 강력한 징계를 내리는 한편 경기력 향상을 위한 논의도 이어갔다. 올해부턴 자유계약선수(FA) 등급제, 샐러리캡, 승률이 같은 공동 1위팀 간 타이 브레이커 등도 도입될 예정이다.

무엇보다 올해는 올림픽에서의 선전이 가장 큰 과제다. 프로야구가 절정의 인기를 얻게 된 것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전승 우승을 빼놓을 수 없다. 2015년 프리미어12 우승 또한 이듬해 800만 관중 시대를 여는 데 일조했다. 지난해 프리미어12에서 일본에 연패하며 ‘우물 안 개구리’라는 비판을 받은 만큼 도쿄올림픽 성적은 프로야구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게 분명하다.

인기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KBO는 지난해 통신·포탈 컨소시엄과 5년 총 1100억원의 유무선 중계권 계약을 맺은 데 이어 올해 지상파 3사와 4년 2160억원의 중계권 계약을 맺었다. KBO 관계자는 “시장 상황은 어렵지만 방송사가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갖고 투자를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운찬 KBO 총재가 올해 신년사에서 ‘리그 경쟁력 강화·야구 산업화·저변 확대’를 키워드로 내세운 만큼 KBO로서는 리그 발전을 위한 여러 과제를 해결해야 향후 더 큰 도약을 노릴 수 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20-02-05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